2015 더 나은 삶의 지수, '사회적 연계' 부문에서 OECD 꼴찌 기록
각종 사회적 관계를 중시하는 한국인에게 정작 어려울 때 의존할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3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표한 ‘2015 더 나은 삶의 지수’(Better Life Index 2015)에 따르면 한국은 11개 세부 평가부문 가운데 ‘사회적 연계’(Social Connections)에서 지수 0을 기록해 36개 조사대상국 중 꼴찌를 차지했다. 이번 조사는 34개 OECD 회원국과 러시아‧브라질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이번 조사 결과에서 한국은 ‘일과 삶의 균형’, ‘삶의 만족도’, ‘환경’ 등 삶을 여유롭게 하는 각종 지표에서 하위권을 차지했다.
특히 조직생활을 중시하고 활발한 SNS 활동을 하는 한국인이 ‘사회적 연계’ 부문에서 지수 0을 기록해 충격을 주고 있다.
사회적 연계는 어려움에 부닥쳤을 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친척, 친구, 이웃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을 의미한다. 한국인 가운데 72%만 그런 사람이 있다고 응답했다. 이는 OECD 평균 88%보다 16% 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한편 조사 결과에서 메르스 감염자가 속출해 시민들의 공포와 불안이 증폭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의 ‘안전’수준은 6위로 OECD 국가 가운데 상위권인 것으로 드러났다.
OECD의 ‘더 나은 삶의 지수’는 주거, 소득, 직업, 교육, 환경, 건강, 삶의 만족도, 안전 등 11개 부문을 평가해 국가별 삶의 질을 가늠하는 지표로, OECD는 2011년부터 매년 지수를 조사해 발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