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튀나 했더니..." 차기 대선은 지자체장들의 전쟁터?
여야 유력 주자 11명 중 지자체장 출신 6명
2016년 총선, 2017년 대통령 선거, 2018년 지방선거까지 정치권 일정이 잇따라 선거로 채워지면서 유력 후보들 간 권력을 잡기 위한 물밑경쟁이 심화될 전망이다. 특히 '권력의 정점'에 있는 대권을 두고는 이미 후보들이 여럿 거론되고 있으며 이중 지방자치단체장들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 눈길을 끈다.
지자체장들은 그 지역의 대통령인 만큼 선출되는 것 자체로 차기 대선주자 리스트에 오른다. 특히 수도인 서울, 인구가 많은 경기, 각종 선거에서 '캐스팅보트'를 쥐는 충청지역 지자체장은 더욱 주목 받는다.
현재 정가(政家)에서는 대권후보로 김무성 당대표와 유승민 원내대표,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 오세훈 전 서울시장, 남경필 경기도지사, 원희룡 제주도지사(이상 새누리당)와 문재인 당대표, 안철수 전 공동 당대표, 박원순 서울시장, 안희정 충남도지사, 김부겸 전 의원(이상 새정치연합) 등이 언급되고 있다. 총 11명 중 지자체장에 몸 담았거나 현재 몸 담고 있는 인사들이 6명으로 과반이 넘는다.
먼저 새누리당 보수혁신특위위원장을 맡고 있는 김 전 지사는 내년 총선을 대권 발판으로 삼으려는 모양새다. 김 전 지사는 다음 총선 불출마를 선언한 이한구 새누리당 의원의 지역구이자 '당의 텃밭'인 대구 수성구갑 출마를 검토하고 있다. 특히 이 지역은 '야권 잠룡'으로 떠오른 김 전 의원이 활발히 활동하고 있어 만약 승부가 성사될 경우, 전국적인 주목 지역으로 떠오를 가능성이 크다. 이 같은 이유로 김 전 지사가 이 지역에서 승리하게 된다면 대권후보로서 단단하게 자리잡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4.29재보궐선거로 정계복귀 신호탄을 쏘아올린 오 전 시장도 총선을 통해 대권준비를 할 것으로 보인다. 오 전 시장은 4.29재보선서 '당의 불모지'로 여겨지는 서울 관악을에 출마한 오신환 후보를 근거리에서 지원했고 오 후보가 당선되면서 몸값이 뛰어올랐다. 오 전 시장은 총선서 야당 원로인 정세균 새정치연합 의원 지역구이자 '정치 1번지'로 불리는 종로 또는 비례대표를 생각 중인 것으로 알려진다. 서울시장 당시 추진했던 세빛둥둥섬,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등이 현재 재평가받고 있는 것도 주목할 부분이다.
남·원 지사는 새누리당 소장파의 시초라고 볼 수 있는 '남·원·정(정병국 의원)' 출신으로 젊고 개혁적이라는 부분이 눈길을 끈다. 이 때문에 2030세대에게는 인기를 끈 반면 당 전통 지지층인 중·장년층에게는 당내 분란을 일으키는 이들로 꼽히기도 했었다. 하지만 지금까지 지사직을 무리없이 이행하면서 리더십을 인정받은 모습이다. 이런 이유로 남·원 지사는 총선보다는 지사직에 충실하면서 대권을 바라볼 것으로 점쳐진다.
박 시장과 안 지사는 시간이 지날수록 야권의 '필수카드'로 떠오르고 있다. 야권의 유력 대선주자인 문 대표와 안 전 대표가 지난 2012년 대선서 갈등을 일으키고 이 갈등이 대선패배를 불러온 한편 현재 당내 계파갈등으로 촉발됐기 때문에 여기서 한 발짝 떨어져있는 두 인사가 매우 중요한 인재라는 것이다.
'소(小)통령'으로 불리는 서울시장직을 두 번째 지내고 있는 박 시장의 경우, 최근까지 "하는 게 없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여기에 박 시장이 "차기 대선에 뜻이 없다"는 언급까지 내놨던 만큼 대권 동력이 다소 떨어졌었지만 지난 4일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 선봉에 서면서 문제해결 능력을 보여준다면 대선주자로서 확실히 안착할 수 있다는 말이 나온다. 마찬가지로 재선인 안 지사는 당 주류인 친노(친노무현) 직계이면서도 비노, 여당까지 아우르는 안목을 갖고 있다는 평을 받으며 유력 대권주자로 뜨고 있다.
한편 지난 대선에도 출마하는 등 권력의지가 강한 김 전 지사를 제외하고는 다(多)경험을 통해 차근차근 대권을 준비하겠다는 분위기가 형성돼있어 차차기(2022년 대선)가 지자체장 출신 대권주자들의 '진짜 전쟁터'라는 말도 나온다. 지자체장은 3선까지 연임할 수 있고 한 차례 쉰 뒤 다시 3선 연임이 가능하다. 김 전 지사부터 오 전 시장, 초선인 남·원 지사, 재선인 박 시장, 안 지사까지 모두 2018년 지방선거 출마가 가능한 것이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