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의동 국회 긴급현안질문 참석에 의원들 '뜨악' 왜?
유의동 "나는 자가격리 아닌 능동감시 대상자" 적극 반박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능동감시 대상자인 유의동 새누리당 의원이 메르스 관련 긴급 현안질문에 참석하면서, 국회 일대에 메르스가 퍼지는 현상을 걱정해야 할지도 모른다는 웃지 못할 상황이 벌어졌다.
경기 평택을이 지역구인 유 의원은 평택성모병원 폐쇄일인 지난달 29일 중환자실에 입원 중인 시민들의 국가격리병동 이송 문제의 원할한 해결을 위해 병원내 꾸려진 보건복지부 상황실에 방문했다. 이후부터 국회내에서는 묘한 기류가 흘렀던 것.
국회 내에서 “유 의원이 메르스 자가격리 대상자로 분류됐지만 새누리당 의원 약 30명이 참석한 회의에 들어갔다”는 소문이 돌았고, 이를 의식한 듯 유 의원은 지난 5일 보도자료까지 배포해 '능동감시 대상자'임을 밝히며 적극 해명했다.
또한 유 의원은 8일 국회에서 열린 메르스 관련 긴급현안질문에서도 자신이 메르스 능동감시 대상자임을 밝혔다.
이 때문인지 유 의원의 질문은 더욱 날카로웠다. 유 의원은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을 향해 "저도 그 병원을 방문했기 때문에 자진신고를 위해 129에 수십차례 전화를 했지만 연결이 되지 않았다"면서 "결국 복지부 관계자에게 문의해서 능동감시 대상자로 판정받았다"고 비판했다.
이어 유 의원은 "그런데 이틀 뒤에 보건소에서 자가격리 대상자라는 전화를 받았다"고 전한 뒤 "저는 자가격리 대상자이냐, 능동감시 대상자이냐"고 따져묻기도 했다. 정부의 오락가락한 상황을 실제 경험자로 꼬집은 것.
하지만 능동감시 대상자든 자가격리 대상자든 논란의 여지가 있는 유 의원이 국회의원 다수가 참석한 긴급현안질문에 참석하면서 사실상 국회의원들이 메르스 집담감염의 위험에 노출된 상황이 아니냐는 이야기까지 돌았다.
정치권에서는 이미 “이러다 국회도 당분간 문을 닫아야 하는 것 아니냐”는 농담반 진담반 이야기가 흘러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이 발표한 메르스 현장 대응 매뉴얼에 따르면 자가격리 대상자가 주거지에서 나가려고 시도할 경우 보건소 관계자가 경고·설득하고, 이에 불응하면 의료시설에 강제 격리하도록 하고 있다. 만약 자가 치료를 거부하면 300만원 이하 벌금형에 해당하고, 경찰이 현행범으로 체포할 수도 있다.
이에 반해 능동감시 대상자는 격리될 필요 없이 하루에 한두 차례 보건당국의 전화 확인으로 문진을 받고 보건소에서 확인증을 교부받으면 된다.
유 의원은 능동감시 대상자지만 이 역시 메르스 감염 위협에서 완전히 벗어난 것은 아니라는 지적 가운데, 국회의원들이 유 의원의 국회 출연을 두려워한다는 소문이 한동안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