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 우여곡절 끝 '최재성 사무총장' 임명했지만...
문재인-이종걸 23일 오후까지 가까스로 접점찾기...향후 갈등은 계속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23일 최재성 의원을 신임 사무총장으로 임명했지만, 향후 당내 갈등은 쉽사리 수습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앞서 범친노계인 최 의원의 인선을 두고 이종걸 원내대표와 비노계 측이 강하게 반발하면서, 최종 인선일을 재차 미루는 등 줄다리기를 이어간 끝에 가까스로 인선을 마무리지은 것이다.
김성수 대변인은 이날 오후 브리핑을 통해 최 사무총장 인선과 함께 △전략홍보본부장에 안규백 의원 △디지털소통본부장에 홍종학 의원 △수석사무부총장에 김관영 의원 △당대표비서실장에 박광온 의원을 임명했다고 밝히고 “혁신과 총선 승리, 더 큰 탕평이라는 세가지에 초점을 맞춰서 이뤄졌다”며 “특히 당 혁신 과제를 차질없이 추진하고 총선승리를 이끌 분들을 선정했다는 것이 이번 인사의 가장 큰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김 대변인에 따르면, 이 원내대표는 문 대표가 내놓은 ‘최재성 카드’에 강하게 반발하며 우윤근·김동철·노영민 의원을 제시했고, 이에 문 대표는 “세 명 중에서 사무총장을 맡을 경우, 대신 ‘최재성 전략홍보본부장 패키지’를 받겠다”며 ‘딜’을 시도했다. 하지만 이같은 시나리오 역시 이 원내대표 측의 동의를 얻지 못했고, 결국 문 대표가 ‘인선을 더 이상 미룰 수 없다’는 판단 하에 당초 내정된 최 의원으로 확정했다.
김 대변인은 이어 “어제 최고위에서 당직 인선 권한을 대표에게 위임했기 때문에, 최고위 의결을 거치지 않아도 인선이 확정된 것”이라며 “오늘 발표한 인선 결과는 대표가 최고위원들에게 통보한 것으로 알고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최 의원이 ‘총선 불출마’를 선언한 것에 대해선 “총선 승리를 위해 희생할 수 있는 분을 선택했다는 쪽으로 이해하시면 될 것 같다”면서도 “구체적인 불출마 여부는 최 의원에게 직접 물어봐야 할 것”이라고 조심스러운 태도를 취했다.
앞서 새정치연합은 사무총장 인선을 두고 당초 최종 인선일로 예고한 이날 오후까지 표류상태였다. 전날 이 원내대표가 인선 유예를 요청, 문 대표가 이를 수용해 인선을 하루 늦추자, 이를 두고 양 측의 해석이 크게 엇갈리면서 인선이 또 유예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기도 했다.
이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기자들과 만나 '문 대표가 최재성 사무총장 인선 의지를 접었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그렇게 보인다. 지금 이 상황에선 그 마음과 태도가 중요하지 않느냐”며 “대표가 지도부 바깥과 당 바깥에 있는 세력들을 다 껴안고 가는 모습이 지금 가장 필요하다. 대표가 동의했기 때문에 인선 결정 기간도 연장한 것”이라고 답해 논란이 일었다.
반면 문 대표 측에서는 문 대표가 여러 후보를 검토한 결과, 리더십과 추진력, 무엇보다 ‘총선 불출마 선언’으로 공천 관련 이해관계에 엮이지 않을 인사는 최재성 의원뿐이라는 판단이 확고한 만큼, 문 대표가 ‘최재성 카드’를 접을 가능성은 없다고 반박했다.
특히 ‘애매한’ 범친노계 최 의원보다는 친노계 핵심 인사인 노 의원을 앉혀 향후 지도부의 실정과 총선 결과에 대한 책임을 철저히 묻겠다는 비노계의 속내가 알려지면서, 문 대표 측에서는 “최재성 외에는 대안이 없다”는 입장이 더욱 확고해졌다. 실제 친노계 한 재선 의원은 “이미 나온 3명 외에 다른 대안이 없다. 불출마 선언한 사람도 최 의원밖에 없지 않나"라며 "결국 최재성으로 결정날 것 같다”고 내다봤다.
한편 우여곡절 끝에 사무총장 인선을 가까스로 넘겼지만, 향후 당내 갈등은 오히려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당장 이 원내대표부터 인선 결과를 인정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히고 나선 것이다.
이 원내대표는 인선 발표 직후 기자들과 만나 "나는 지금껏 당대표께 당의 문을 열어야한다고 줄곧 말씀드려왔다. 그런데 오늘 당대표는 당의 안쪽에 열쇠를 잠갔다"며 "포용하지 않는 정당은 확장성이 없다. 확장성이 없으면 죽은 미래가 있을 뿐"이라고 불쾌감을 드러냈다.
비노계 측에서도 최 의원의 인선을 '친노패권주의'로 규정하며 문 대표를 향해 날을 세웠다. 아울러 사무총장이 통상 총선을 위한 조직과 재정을 총괄하는 중책인 만큼, 이 과정에서 '공천권'을 둘러싼 당내 계파 갈등도 이어질 전망이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