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물' 만난 안철수 "당내 컴퓨터 보안전문가는 나 뿐"


입력 2015.07.15 17:29 수정 2015.07.15 17:30        이슬기 기자

국정원 불법사찰의혹조사특별위원회 위원장 임명, 당내 검사센터 신설 예정

안철수 새정치연합 전 공동대표가 15일 국정원의 불법 해킹프로그램 구입 의혹 진상조사를 위한 당내 특위 위원장직을 맡았다.(자료사진)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국가정보원의 인터넷·휴대전화 해킹프로그램 구입 의혹이 불거진 가운데, 새정치민주연합은 15일 안철수 전 공동대표를 국정원 불법사찰의혹조사특별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하고, 이르면 오는 16일 당 주요당직자들의 스마트폰에 스파이웨어 설치 여부를 검사하는 센터를 신설할 예정이다.

안 위원장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당직자뿐 아니라 국민들도 불안감을 갖고 있는 분들이 많으리라 본다”며 “이른 시간 내에 전문가들로 팀을 꾸려서 원하는 분들이 검사를 받을 수 있게 당 차원에서 해드릴 수 있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김성수 대변인도 “가능하면 내일(16일) 당내에 검사센터를 만들 것”이라고 예고했다.

앞서 이종걸 원내대표가 이날 오전 최고위원회의에서 “주요당직자를 포함해 고위당직자의 스마트폰에 이런 종류의 스파이웨어가 있는지 점검해야 한다"고 주장한 것을 근거로 실제적인 특위 차원의 대응에 나선 것이다.

안 위원장은 특히 국정원이 프로그램을 구입하지 않았다는 정부여당의 주장과 관련, 해킹 프로그램의 ‘원격 삭제’ 가능성에 무게를 뒀다. 그는 “해킹팀에서 만든 프로그램은 원격으로 삭제가 가능하다. 따라서 만약 설치됐더라도 원격으로 삭제했을 가능성이 있다”며 “삭제된 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다른 파일들이 덧붙여지면서 증거 찾기가 훨씬 어려워진다”고 분석했다.

그는 또 “이번 해킹팀 프로그램들은 PC와 휴대폰 설치가 모두 가능하고, 대화내용이나 키보드 입력 등을 원격으로 다 알아낼 수 있으며 원격으로 카메라, 마이크 조작도 가능하다”며 “특히 원격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파괴할 수도 있다. 그래서 아마도 언론에서 기사가 났을 때 당장 원격으로 지웠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이날 오전 정보위 소속 박민식 새누리당 의원이 라디오 인터뷰에서 “정보위 차원에서 현장 검증 시 안철수 의원이 함께 가면 좋겠다”고 말한 것과 관련, 안 위원장은 “내가 정보위 소속이 아니다”라며 “그래서 규정과 절차대로 우리당 내 위원회가 꾸려지면 위원회 차원에서 공동으로 참여하는 것은 검토해보겠다”고 답했다.

한편 안 위원장은 이날 간담회에 앞서 “오늘 오전 문재인 대표로부터 특위위원장직을 제안 받고 11시경 수락하겠단 말씀을 드렸다”며 “철저한 진상규명, 제도개선을 통한 재발방지책 마련, 국민 불안감 해소 부분에 따라 소위를 설치하고 위원회 명칭과 위원 구성에 대해선 제가 담당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는 또 “위원 구성에는 정보위, 미방위 의원 뿐 아니라 외부전문가도 반드시 모셔야한다”며 “이 일은 우리당 차원에서만 그칠 게 아니라 국민 인권과 관련된 문제인 만큼, 여당도 함께 하는 국회 차원의 특위 구성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와 함께 부족하다면 국정조사 실시 여부도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지난달 메르스 사태가 일파만파 번질 당시, 당 지도부는 의사 출신인 안 위원장에게 메르스대책특위 위원장직을 제안했으나 안 위원장이 거절한 바 있다. 하지만 이번 국정원 사태와 관련, 안 의원이 위원장직을 선뜻 허락해 눈길을 끌었다.

이에 대해 안 위원장은 “내가 처음에 파악해보니 메르스 바이러스 자체의 감염력은 굉장히 낮기 때문에 국가방역시스템만 제대로 작동되면 진압할 수 있다고 봤다. 그래서 내가 직접 나서기 보단, 나는 복지위원으로서 계속 열심히 활동겠다고 말씀드린 것”이라며 “그런데 이번에는 전 국민이 대상이다. 게다가 의사는 당내에 또 있지만 컴퓨터 보안전문가는 나밖에 없어서 그럼 내가 맡아야 한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이슬기 기자 (wisdom@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슬기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