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지역안전지수 공개...서울·경기 '안전 최상'
안전처, 화재·교통사고분야 지역안전지수 등급 산출·공개
전국 시군구 가운데 화재와 교통사고 분야의 안전수준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서울 강동구와 송파구 등 6곳으로 조사됐다. 상대적으로 화재와 교통사고 피해 위험이 큰 지역은 부산 중구와 대구 동구 등 7곳이었다.
국민안전처는 29일 2013년 화재·교통사고 통계를 바탕으로 산출한 화재분야와 교통사고분야 지역안전지수 등급을 산출했더니 특별·광역시 중에서는 서울시가, 도 중에서는 경기도가 화재·교통사고 분야 모두 최고 등급을 받았다고 밝혔다.
서울 강동·송파구, 경기 수원·부천시, 부산 기장군, 충북 증평군은 상위 10%에 해당하는 1등급을 받았다.
그러나 부산 중구, 대구 동구, 경북 영천·상주시, 충북 보은·영동군, 경남 의령군은 같은 유형의 자치단체 중 가장 안전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종시와 전남도는 두 재냔분야 모두 최하위인 5등급을 받았다.
지역안전지수는 각 지자체의 분야별 안전수준을 여러 가지 통계지표로 수치화한 뒤 점수에 따라 최고 1등급에서 최하 5등급까지의 등급으로 나타나는 지수다.
반영되는 지표로는 화재, 교통사고, 자연재해, 범죄, 감염병, 자살, 안전사고 등 7개 분야의 38개 항목이 있다.
특히 화재분야 지역안전지수는 사망자수, 발생빈도와 상관관계가 있는 음식점수 및 산림면적, 피해 경감에 기여하는 병상수를 종합해 산출했으며, 교통사고 분야는 사망자수, 자동차등록대수, 구조구급대원수를 종합해 산출했다.
안전처 관계자는 “인구 1만 명당 사망자수 지표가 등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고 전했다. 또 낮은 등급을 받은 지자체에 안전하지 못하다는 ‘낙인효과’의 우려가 있을 것이라는 점에 대해선 “개인에 대한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지역 구성원들이 지역 안전을 위해 더 노력할 것”이라며 “또 5개 등급으로 공개돼 특정 지역에 낙인효과는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