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빅딜'에 "성격 달라" vs "다르니까 논의해야"
김재원 "전혀 다른 내용을 맞바꾸자고? 충돌할 수 있어"
김태년 "주장 다르면 머리 맞대고 논의하는게 상식 아니냐"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와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맞교환하는 ‘빅딜’을 제안했지만,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사실상 이를 거부하면서 논의가 진척을 보이지 않고 있다. 여야가 선거제도 개편 방안에 입장을 달리하고 있어 진통이 예상된다.
김재원 새누리당 의원은 6일 오전 YTN 라디오 ‘신율의 출발 새아침’에 출연해 앞서 문 대표의 공식 제안과 관련, “야당 대표로서 안타까움에서 말씀하신 것이겠지만, 이 두 개는 전혀 성격이 다른 것”이라며 부정적 입장을 견지했다.
김재원 의원은 “권역별 비례대표제는 비례대표 의석수 배분 원칙에 관한 것으로 공직선거법에서 말하는 선거제도에 관한 문제고, 오픈프라이머리라는 것은 각 당 내에서의 공천의 원칙에 관한 문제”라며 “전혀 다른 내용을 서로 맞바꾸자고 한다면 원칙에 관한 문제에서 충돌이 있어 그렇게 좋은 제안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야당에서 ‘지역구도 타파를 위해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도입하자’고 주장하고 있는 데 대해 “호남에서 이정현 의원이 당선된 노력이라든가 또는 영남에서 김부겸 전 의원이 선전하는 이런 모습이 지역구도가 타파되는 것이지, 비례대표 의석수 배분의 조작을 통해서 지역구도가 타파되었다고 주장하는 것은 현실과 맞지 않다”며 “단순히 야당 입장에서 유리한 방식으로 의석수 배분을 해보자는 취지가 아닌가”라고 지적했다.
반면,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야당 간사인 김태년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CBS 라디오 ‘박재홍의 뉴스쇼’에서 문 대표의 제안을 사실상 거절한 여당에 쓴 소리를 날렸다.
김태년 의원은 “문 대표께서 여야가 각각 주장하는 바가 다르니까 이것을 큰 틀에서 함께 논의해 보자는 취지로 말씀을 하신 것”이라며 “서로의 주장이 다를 경우에 머리를 맞대고 논의를 해야 답이 나오지 않겠나. 상식 아니겠나”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김 대표가 ‘빅딜’ 제안에 대한 거부 의사를 밝힌 것과 관련, “새누리당이 누려온 부당한 선거제도로 인한 기득권을 내려놓지 않겠다는 말로 밖에 들리지 않는다”며 “아예 ‘상대방의 주장은 들어보지도 않겠다’, ‘논의도 안 해보겠다’ 이런 일방적인 말로만 들린다”라고 비판했다.
이어 “더구나 야당 대표가 고심 끝에 어떤 제안을 했는데 일언지하에 제안을 거절한다면 ‘앞으로 아무것도 안하고 남 탓만 하겠다’ 이렇게 보여진다”며 “이럴 때일수록 여야가 언론을 통해서 공방만 벌일 것이 아니라 책임 있게 논의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견해를 밝혔다.
이밖에 그는 권역별 비례대표제에 대해 “특정지역을 특정 정당이 지금 거의 독점하다시피 하고 있지 않는가”라고 반문하며 “정치는 경쟁이 있어야 발전을 하게 되고 그래서 지역주의를 완화하는데 (권역별 비례대표제가) 꼭 필요한 제도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해당 제도가 야당에 유리한 제도라는 여당의 지적과 관련해서는 “새누리당이나 새정치연합은 다 의석수가 감소한다”며 “새누리당만 손해 보고 새정치연합은 이익을 보는 그런 제도가 아니고 새누리당이나 새정치연합이나 똑같이 다 의석수 감소해서 손해를 보는 그런 제도”라고 설명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