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지우기' 아베의 '혼내'는...'새로운 일본 건설'
남광규 교수 "헌법개정으로 군사역할의 확대와 독자적 일본 역할의 강화"
일본 아베 정권이 보여주는 왜곡된 역사인식은 단순히 과거 역사에 대한 해석의 차이 차원을 넘어 일본의 새로운 미래 창출을 위한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남광규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교수는 6일 프란치스코회관에서 바른사회시민회의가 개최한 ‘광복 70주년 기념 연속토론회-일본의 지속적인 역사왜곡,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라는 제하의 토론회에서 “아베 총리가 과거사 문제와 관련해서 애매모호한 표현을 사용하거나 부정하는 것은 ‘신일본’을 건설하기 위한 움직임”이라고 주장했다.
남 교수에 따르면 아베정권이 과거 침략의 역사를 미화하고 위안부 문제를 부정하며 중국 부상에 대해 핵무장을 통해서라도 견제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는 것은 자신들의 새로운 미래창출과 밀접하게 연관돼있다.
이와 관련해 남 교수는 “현재 아베정권은 아베의 역사인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일본을 건설하려는 움직임이 포착된다”며 “헌법개정이나 ‘집단자위권’ 등이 그렇다”고 해석했다.
이어 남 교수는 “(아베가 역사왜곡을 되풀이 하는 동안) 헌법개정이나 집단자위권으로 인한 군사역할의 확대와 미일동맹 및 독자적 일본 역할의 강화 등으로 (신일본 건설이) 체계적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피력했다.
그러면서 남 교수는 “일본의 역사부정과 영토부정에 대해 단호히 대응함과 동시에 꾸준한 사실 확인이 필요하다”며 “식민경험을 당한 국가들과 연대협력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그는 “일본과 경제·안보적 협력 역시 사실 규명만큼이나 꾸준히 필요하다”며 “시민사회 및 학생·문화교류는 더 활발히 지속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날 함께 토론회에 참석한 박인환 대일항쟁기위원회 위원장이자 건국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과거사 진실규명을 위한 우리정부의 노력을 강조했다.
박인환 교수는 “일본 국민들의 경우 군국주의 침략전쟁의 역사도 제대로 모르고 있다”며 “우리정부가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일제피해 진상을 철저히 규명하고 역사의 진실을 밝히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박 교수는 “유대인의 경우 600만 명의 홀로코스트 피해자에 대한 철저한 사실조사를 전제로 독일의 사죄와 역사왜곡 방지를 이끌어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