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담화' 자문단 '식민지배 사죄' 내용 언급 안해
"1930년 이후 식민 통지가 가혹해졌다"는 사실 관계 내용뿐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발표할 전후 70년 담화에 식민지 지배나 침략에 대한 사과는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정치학자, 언론인, 기업인 등 16명으로 구성된 '아베 담화' 자문단이 지난 6일 아베 총리에게 '식민지배 사죄'의 내용은 빠진 43쪽 분량의 최종 보고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자문단은 보고서에서 일본이 "중국 등 여러 나라를 침략해 고통을 줬다"는 점과 "특히 1930년대 이후 식민 통치가 가혹해졌다"는 점은 인정했지만 일본의 한국 식민지 지배에 대한 사죄의 뜻은 담기지 않은 것으로 보고있다.
특히 한국에 대해서는 박근혜 정부가 출범한 이후 한,일 관계가 개선될 조짐을 보이지 않는다고 기술하며, 박 대통령에 대해 "취임 때부터 (일본 문제에서) '심정'을 전면에 내세운 전례 없이 엄격한 대일 자세를 가진 대통령"이라고 적기도 했다.
아베 총리는 "자문단 보고서를 토대로 일본이 갈 길을 밝히는 담화를 작성하고 싶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아베 총리의 식민통치에 대한 생각이나 관련 역사인식은 '아베 담화'가 발표되는 오는 14일에 살펴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아베 총리는 '아베 담화' 최종보고서를 받은 지난 6일, 히로시마 원폭 투하 70년을 맞아 평화공원에서 열린 위령식에서 지난 19년간 매년 언급해온 '비핵 3원칙'을 거론하지 않아 파문이 일고 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