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신동빈 '원톱' 구축했지만 가야할 길은 아직 첩첩산중


입력 2015.08.18 11:10 수정 2015.08.18 14:44        김영진 기자

가족간 갈등, 기업 이미지 실추, 기업지배구조 해결 시급

신동주 전 부회장 반격에 대비 경영권 확보도 공고히해야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지난 17일 오전 주주총회를 통해 형의 반란을 제압했지만 아직도 가야할 길은 멀고 험하다.(자료사진)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롯데그룹 경영권 분쟁의 분수령으로 꼽힌 일본 롯데홀딩스 주주총회에서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완승하면서 한·일 롯데에서 '신동빈 원톱체제'가 공식화하게 됐다.

하지만 풀어야 할 숙제도 첩첩산중이다. 이번 경영권 분쟁에 따른 그룹 이미지 실추와 가족들과의 갈등, 반도체처럼 얽힌 기업지배구조 해소 등은 시급히 해결해야할 과제이다. 여기에 형인 신동주 전 부회장의 소송전 등 반격에 대비한 수성전략도 마련해야 한다.

8일 롯데그룹과 재계에 따르면 지난 17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일본 롯데홀딩스 주주총회에서 기존에 상정된 사외이사와 지배구조개선 안건이 의결 요건인 참석 주주 과반수 이상 찬성으로 가결돼 20분 만에 끝났다.

이번 주총을 통해 주주와 임직원들은 신 회장과 기존 경영진을 중심으로 경영 안정을 조속히 이루고, 지배구조 개선 및 경영투명성 강화에 주력하고자 하는 의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법과 원칙에 의한 준법경영을 결의한 것은 기업과 가족을 확실히 분리하겠다는 의지의 확인이었다.

실제 신 회장은 주총 결의 후 발표문을 통해 "경영과 가족 문제를 혼동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며 "회사의 경영은 법과 원칙에 의거해 운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신동주 전 일본롯데홀딩스 부회장이 법적 소송 절차를 진행한다거나 '반 신동빈파'로 불리는 가족들이 신 회장이 추진하는 개혁에 반대 목소리를 높인다면 큰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

특히 이들은 주요 계열사에 지분을 가지고 있어 언제든 반대 목소리를 낼 수 있다.

재계 관계자는 "신동빈 회장 측이 주장하는 법과 원칙이 틀린 것은 아니지만, 가족과의 관계는 풀고 가야하는 것이 우선일 것"이라며 "가족들이 신 회장 측에 지속 반대를 한다면 기업지배구조개선이나 기업 이미지에도 결코 좋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이번 경영권 분쟁을 통해 실추된 롯데 기업 이미지 회복도 시급하다. 이번 사태로 한국과 일본 모두에서 롯데의 이미지는 크게 실추된 상황이다. 소비재 중심인 롯데 있어 소비자들의 불매운동은 큰 타격일 수 있다.

아울러 신 회장이 지난 11일 대국민 사과문을 통해 밝힌 '그룹 내에 지배구조 개선 TFT' 출범 및 호텔롯데 기업공개도 순조롭게 진행해야 한다.

신 회장은 "순환 출자를 비롯한 지배구조 개선과 경영투명성 제고 조치를 빠른 시일 내에 시행하겠다"며 "현재 남아 있는 순환출자의 80% 이상을 연말까지 해소 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이를 실천하는 데는 큰 무리는 없을 것이란 분석이다. 이번 일본 롯데홀딩스 주총에서 주주들이 신 회장을 지지한 것 역시 새로운 경영방침을 받아들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재계 관계자는 "롯데에 종사하는 직원들이 국내에 13만명, 세계적으로 18만명이 넘는데 이들을 위해 가족경영보다는 법과 원칙에 근거한 경영을 추진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일본 롯데홀딩스 주주들도 신 회장을 지지했다는 것 역시 이를 받아들인 것이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영진 기자 (yjkim@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김영진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