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의 복수? 학교정책 반대 교수들 연구년 탈락
교협 "협박 현실화 조직적으로 보복작업...책임 묻겠다"
학교 정책에 반대해 온 중앙대 교수들이 연구년 신청에서 모두 탈락했다. 중앙대 교수협회는 "중앙대가 보복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교협은 14일 "박용성 중앙대 전 이사장이 드디어 보복을 개시했는가?"라는 보도자료를 내고 그동안 학교의 부당한 정책에 반대해왔던 교수들이 2016년 연구년 선정에 모두 탈락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교수대표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인 김누리 교수는 2013년과 2014년 두 차례나 이유없이 연구년 신청에서 탈락하고 이번에 또 탈락했다"며 "이용구 총장이 김 교수를 지목해 연구년을 보내지 말라고 지시했다는 증언도 있다"고 밝혔다.
김누리 교수 외에 교수 비대위와 교협 활동을 적극적으로 하던 다른 두 교수와 교협 대의원 중 연구년을 신청해 선정된 사람이 없다고 전했다.
이들은 "박 전 이사장이 비대위를 중심으로 한 교수들의 목을 쳐주겠다는 의지를 이사장 사퇴 후에도 접은 적이 없고 현 총장과 보직교수들이 이 협박을 현실화해 조직적인 보복작업을 벌이는 것"이라며 "반드시 책임을 묻겠다"고 강조했다.
박용성 전 이사장은 지난 3월 대학 구조조정 등 선진화 계획에 반대하는 교수들을 향해 "가장 고통스러운 방법으로 목을 쳐 주겠다"는 막말을 쏟아낸 후 여파로 사퇴했다.
한편 교협은 이용구 총장이 이사장과 재단의 비민주적 학교 운영을 수수방관했다는 이유로 지난 7월 불신임했으나 이 총장은 별다른 입장 표명 없이 총장직을 계속 수행하고 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