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볼라 바이러스, 정액에서 최장 9개월 생존 가능"
WHO, 남성 생존자에 성관계 자제 또는 콘돔 사용 권장
지난해 전세계를 공포에 몰아넣었던 에볼라 바이러스가 정액에서는 최장 9개월까지도 생존할 수 있다는 새로운 연구결과가 나왔다.
세계보건기구(WHO) 성병 전문가 나탈리 브로테 박사 연구진은 14일(현지시각) 의학전문지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슨에 시에라리온에서 만 18세 이상 남성 에볼라 생존자 93명의 정액표본을 연구한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에볼라 감염 후 3개월이 지난 시점에 검사 받은 생존자 9명 중 100%인 전원이 양성 판정(정액 내 에볼라 바이러스)을 받았으며, 4~6개월이 지난 검사자 40명 중 65%인 26명, 7~9개월 후 검사자 43명 중 26%인 11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즉, 혈액 속에서 바이러스가 사라져 에볼라 완치 판정을 받은 이후에도 남성 환자의 정액에는 바이러스가 여전히 남아있을 수 있으며, 유사시 에볼라가 재발할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이에 연구진은 에볼라 완치 판정을 받은 환자라 할지라도 최소 6~12개월은 더 치료 및 관리를 받을 필요가 있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다만 연구진은 에볼라가 다른 체액이 아닌 정액에 오래 남아있는 이유나 오래 남아있는 에볼라 바이러스가 감염성이 있는지 등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내지 못했다.
한편 WHO 등 보건당국은 에볼라 바이러스의 남성 생존자에게 성관계 자제 또는 완쾌 후 최소 3개월 후 콘돔 사용 성관계를 권장하고 있으며, 생존자는 완쾌 후에도 연속으로 2차례 음성 판정을 받을 때까지 매달 검사를 받도록 하고 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