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흙수저 금수저 있다' 상위 10%와 하위 50% 격차 심각


입력 2015.10.29 13:31 수정 2015.10.29 13:31        스팟뉴스팀

김낙년 동국대 교수 '상속세 자료' 분석해 자산 불평등 수치 발표

우리나라의 부의 불평등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자산 상위 10%의 자산 증가는 갈수록 느는 반면 하위 50%의 자산 비중은 갈수록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사진) ⓒ연합뉴스

우리나라 부의 불평등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자산 상위 10%의 부의 증가는 갈수록 느는 반면 하위 50%의 자산 비중은 갈수록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낙년 동국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국세청의 2000~2013년 상속세 자료를 분석해 한국사회 부의 분포도를 추정한 논문을 29일 낙성대경제연구소 홈페이지에 공개했다.

김 교수는 사망자의 자산과 정보를 이용해 살아있는 사람의 자산을 추정하는 방식을 써 연구를 진행했다. 이를 위해 국세청 자체 전산망에 포착된 사망자 명의의 부동산과 금융자산 등을 활용했다.

분석 결과 국내외 연구진이 자산 불평등을 추정한 결과보다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상위 10%와 하위 50%의 격차가 더욱 심해졌다.

20세 이상 성인을 기준으로 한 자산 상위 10%는 2013년 기준 전체 자산의 66.4%를 보유했으며 평균 자산은 6억 2400만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글로벌금융위기 이전인 2000~2007년 연평균 63.2%보다 약 3% 이상 증가한 것이다.

반면 하위 50%의 자산 비중은 2000년(2.6%) 2006년(2.2%) 2013년(1.9%)로 갈수록 줄어드는 모습을 보여 부의 불평등이 심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노동을 통해 얻는 소득보다 이미 축적된 부를 통해 얻는 수익이 불어나는 속도가 빠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김 교수는 상위 10%에 집중된 부의 집중도를 분석한 국제비교 결과를 내놨다. 우리나라는 영미권 국가인 미국보다 10% 이상 낮은 수치를 보였지만 프랑스 등 유럽 국가에 비해서는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김 교수는 이 논문을 31일 서울대에서 열리는 전국역사학대회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스팟뉴스팀 기자 (spotnews@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스팟뉴스팀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