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수저 금수저 있다' 상위 10%와 하위 50% 격차 심각
김낙년 동국대 교수 '상속세 자료' 분석해 자산 불평등 수치 발표
우리나라 부의 불평등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자산 상위 10%의 부의 증가는 갈수록 느는 반면 하위 50%의 자산 비중은 갈수록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낙년 동국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국세청의 2000~2013년 상속세 자료를 분석해 한국사회 부의 분포도를 추정한 논문을 29일 낙성대경제연구소 홈페이지에 공개했다.
김 교수는 사망자의 자산과 정보를 이용해 살아있는 사람의 자산을 추정하는 방식을 써 연구를 진행했다. 이를 위해 국세청 자체 전산망에 포착된 사망자 명의의 부동산과 금융자산 등을 활용했다.
분석 결과 국내외 연구진이 자산 불평등을 추정한 결과보다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상위 10%와 하위 50%의 격차가 더욱 심해졌다.
20세 이상 성인을 기준으로 한 자산 상위 10%는 2013년 기준 전체 자산의 66.4%를 보유했으며 평균 자산은 6억 2400만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글로벌금융위기 이전인 2000~2007년 연평균 63.2%보다 약 3% 이상 증가한 것이다.
반면 하위 50%의 자산 비중은 2000년(2.6%) 2006년(2.2%) 2013년(1.9%)로 갈수록 줄어드는 모습을 보여 부의 불평등이 심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노동을 통해 얻는 소득보다 이미 축적된 부를 통해 얻는 수익이 불어나는 속도가 빠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김 교수는 상위 10%에 집중된 부의 집중도를 분석한 국제비교 결과를 내놨다. 우리나라는 영미권 국가인 미국보다 10% 이상 낮은 수치를 보였지만 프랑스 등 유럽 국가에 비해서는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김 교수는 이 논문을 31일 서울대에서 열리는 전국역사학대회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