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경북 출신 남성과 결혼하면 집안 일 하루 65분 더"


입력 2015.10.30 10:04 수정 2015.10.30 10:05        스팟뉴스팀

노동연구원 학술대회 발표 "남아선호 지역 남성, 전통적 성역할 고수"

남아선호 사상이 강한 경북 출신의 남성과 결혼한 여성이 집안일을 더 많이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자료사진) ⓒ연합뉴스

남아선호 사상이 강한 경북 출신의 남성과 결혼한 여성이 집안일을 더 많이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30일 한국노동연구원이 서울대에서 개최한 '한국노동패널 학술대회'에서 이철희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 등은 '부모의 남아선호·성역할 태도와 가사분담' 논문을 발표했다.

논문은 "남아선호가 강하게 나타난 지역에서 태어난 남성은 남아선호가 덜 강한 지역의 남성에 비해 전통적인 성역할 태도를 지닐 확률이 높고, 이는 가사노동 배분의 차이로 이어진다"고 주장했다.

지역별 남아선호 정도는 1990년대 초·중반의 출생성비로 측정됐다. 이 시기에 성감별 기술의 보급으로 성감별 낙태가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연구 결과 1991~1994년 출생성비가 115인 지역에서 태어난 남성과 결혼한 여성은 출생성비가 105인 지역의 남성과 결혼한 여성에 비해 하루에 34분 더 집안일을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출생성비가 115라는 것은 여아가 100명 태어날 때 남아는 115명 태어나는 것을 말한다. 해당 기간 평균 출생성비는 103~107 수준이었다.

구체적으로는 출생성비가 131인 경북에서 태어난 남성과 결혼한 여성은 출생성비가 112인 인천 남성과 결혼한 여성에 비해 집안일을 하루 65분을 더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교수는 "실제로 성역할 인식을 묻는 문항에 대해 남편이 전통적인 성역할에 가깝게 응답할수록 아내의 가사노동 시간은 더 늘어나는 경향을 보였다"며 "아내의 문화적 배경 및 주관적 성역할 인식은 가사노동 시간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에 대해 이 교수는 "여성의 사회경제적 조건을 개선하는 것과 동시에 남편의 성역할 태도의 변화가 수반돼야만 가구 내 남녀 불평등이 해소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며 "1990년대 중반부터 출생성비가 감소해 2000년대에는 정상성비를 회복한 것으로 보아 우리나라에서 남아선호는 지속적으로 감소했으며, 따라서 가구 내 남녀불평등의 개선은 과거보다 빠른 속도로 이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스팟뉴스팀 기자 (spotnews@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스팟뉴스팀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