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첫 한일정상 회담, 양국 과거사원칙 재확인 밖에는..."


입력 2015.10.30 10:10 수정 2015.10.30 10:14        목용재 기자

전문가 "현안 입장, 좁혀지지 않기 때문에 큰 기대 어려워"

지난 14일 서울 종로구 중학동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제1200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수요집회에서 김복동 할머니가 발언하고 있다. ⓒ데일리안 홍효식 기자

박근혜 대통령과 일본 아베 신조 총리가 국가 지도자 직에 오른 이후 첫 정상회담을 개최하게 됐지만 이번 회담은 일본 측의 ‘과거사 사과’보다 이와 관련된 한일 양측의 입장을 재확인하는 수준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아베 총리가 한일 정상회담을 앞두고 지난 29일 “위안부 문제를 포함한 솔직한 의견 교환을 하고 싶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기대를 모으고 있지만 한일 간 과거사 문제에 대해서는 만족할 만한 사과를 얻어낼 수 없다는 것이다.

이종원 일본 도쿄 와세다 대학 교수는 30일 KBS라디오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에 출연해 “이번에 큰 기대를 하기에는 상당히 어렵다는 생각이 든다”면서 “현안에 관해서 입장이 좁혀지지 않기 때문에 그렇게 큰 기대를 하기는 어렵지 않은가 생각한다. 또 일본 내에서의 관측도 일본이 워낙 원칙적 자세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비관적인 전망이 많다”고 말했다.

이종원 교수는 “어차피 위안부 문제를 언급할 수밖에 없다고 보는데, 아마 중점은 ‘솔직한 의견교환’이라는 점에 있는 것 같다. 일본으로서 이 문제는 해결된 것이라는 게 기본 원칙”이라면서 “그러나 워낙 지금 한국에서도 이걸 기본적인 원칙으로 전제하고 있기 때문에 아베 총리가 발언을 한다면 상당히 원칙적이고 간접적인, 그런 자기 선을 지키려고 노력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기본적으로 한일관계가 거의 공백이라고 하니까 만남 자체(에 의미가 있다). 일단 만나서 일본도 자기의 원칙을 이야기한다”면서 “원칙적인 입장을 솔직히 이야기한다는 것에 가장 중점을 두고 또, 역사문제 같은 것을 자꾸 되풀이하지 않고 일본표현으로 하면 미래지향으로, 이를 전제로 만남의 틀을 만들려고 하는 것이 일본의 노림수”라고 전망했다.

목용재 기자 (morkka@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목용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