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여야 4+4회동 결렬...선거구 획정시한 끝내 못지킨 국회


입력 2015.11.12 20:19 수정 2015.11.12 20:19        이슬기 기자

여 "의원정수 300명 유지, 지역구 3석 늘리고 비례 3석 줄여야"

야 "권역별비례대표제 도입, 선거시간 연장하고 선거연령 낮춰야"

선거구 획정 법정시한을 하루 앞둔 12일 오후 국회 귀빈식당에서 선거구 획정 논의를 위한 여야 지도부 및 정치개혁특별위원회 간사 재회동이 결렬된 후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와 조원진 원내수석부대표가 브리핑을 마친 뒤 나서고 있다. ⓒ데일리안

선거구 획정 법정시한을 하루 앞둔 12일 오후 국회 귀빈식당에서 선거구 획정 논의를 위한 여야 지도부 및 정치개혁특별위원회 간사 재회동이 결렬된 후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와 김태년 정개특위 간사가 나서고 있다. ⓒ데일리안

여야가 20대 총선에 적용할 선거구 획정 기준 논의를 위해 양당 지도부간 3차에 걸친 ‘4+4’ 회동을 벌였지만, 끝내 결렬됐다. 이날 회동은 선거구 획정 법정시한인 오는 13일 전에 열리는 사실상의 막판 회동이었던 만큼, 국회는 법정시한을 어기게 됐다.

새누리당 김무성·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를 비롯한 양당 원내대표와 원내수석부대표, 정치개혁특별위원회 간사는 12일 4+4 회동을 열어 선거구 획정 기준을 논의했으나 접점을 찾지 못했다.

앞서 지난 10일과 11일 이미 두차례 만남을 이어갔던 여야 지도부는 이날 낮 12시부터 2시간에 걸쳐 의원정수 확대, 지역구와 비례대표 의석수 조정, 권역별비례대표제 도입 등 논의했지만 양당 간 입장차만 확인한 채 등을 돌렸다.

새누리당이 △의원정수 300명을 유지하고 △농어촌 지역 대표성 보장을 위해 지역구를 3석 늘리는 동시에 △비례대표를 3석 줄이자고 주장한 반면, 새정치연합은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도입하고 △선거 시간을 기존 오후 6시에서 오후 8시까지 연장하며 △현행 선거 연령인 만 19세를 만 18세로 낮추는 방안 등을 요구했다.

이날 회동은 오후 5시 30분경 본회의로 중단된 후 다시 열렸지만, 여야의 입장차가 워낙 뚜렷해 회동을 시작한지 10분도 채 안돼 결렬됐다.

김무성 대표는 회동 후 기자들과 만나 "원래 11월 13일까지 획정위에서 선거구 획정을 해야만 스케줄대로 진행될 수 있다"며 "농어촌 지역구가 대폭 줄어드는 것을 막기 위해 노력했지만, 결국 합의를 보지 못했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이어 "우리 당은 선거구 획정 전이라도 현행 선거구를 기본으로 정치 신인들의 활동을 보장하기 위한 장치를 마련하겠다"며 "주말에 저희들이 상의를 해서 당내 경선 일정을 앞당기겠다"고 덧붙였다.

반면 정개특위 야당 간사인 김태년 새정치연합 의원은 "비례대표를 축소하는 대신 이병석 정개특위 위원장의 중재안과 국회선진화법 개정에 대한 요구를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제시했지만 새누리당이 전부 다 거부했다"며 "현행 의석수로 가든지 비례대표를 축소하는 방안만 협상하자고 했다. 협상결렬의 책임은 새누리당에 있다”고 주장했다.

같은 당 이춘석 원내수석부대표도 "우리가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제안했지만 새누리당이 수용하지 않아서 조금씩 양보했다"며 "저희가 백기를 든 수준까지 양보했는데, 새누리당은 칼을 꽂는 수준까지 나가 더 이상 협상 진행의 의미가 없었다"고 말했다.

이슬기 기자 (wisdom@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슬기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