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친박계발 개헌론에 "할말 없어"
최경환, 홍문종 등 친박계 '개헌론' 불씨..."민생 법안 중점"
지난해 김무성 대표 '상해' 발언 후 즉각 반발과 다른 모습
청와대는 최근 친박근혜계 인사들을 중심으로 거론되고 있는 '개헌론'에 대해 사실상 일축했다. 지난해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의 '상해 발언'으로 개헌론이 불거지자 "불랙홀이 될 수 있다"며 즉각 반발했던 것과 다른 행보다.
정연국 청와대 대변인은 13일 춘추관에서 개헌론에 대한 질문이 나오자 "드릴 말씀이 없다"며 "어제 김성우 홍보수석이 밝혔던 (지금은) 노동개혁 5대 입법, 경제활성화 4대 입법, 한중 FTA (비준동의안 처리) 등 민생 경제에 집중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친박(친박근혜)계 핵심으로 당 사무총장을 지낸 홍문종 새누리당 의원은 전날 라디오 방송에 출연, "5년 단임제 대통령 제도는 이미 죽은 제도가 된 것 아니냐"며 "20대 (총선이) 끝난 이후 개헌을 해야 된다는 것이 현재 국회의원들의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어 '반기문 대통령에 친박 총리 조합이 거론되고 있다'는 진행자의 말에 "옳고 그르다를 떠나 가능성이 있는 이야기"라고도 했다.
앞서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4일 한 행사에서 "지금까지 5년 단임 정부에서는 정책의 일관성과 지속성을 유지하기가 매우 어려웠다"면서 "앞으로 같이 고민할 부분이 아니겠나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처럼 최 부총리 홍 의원 등 친박계를 중심으로 개헌론의 군불이 지펴지는데도 청와대는 아무런 반응을 내놓지 않고 있다 이날 기자들의 질문에 그제서야 '민생 법안' 우선을 내세웠다.
이는 지난해 10월 김 대표가 상해에서 개헌을 발언을 한 이후 즉각 반발했던 모습과는 결이 달라 청와대의 태도 변화에 관심이 쏠리는 상황이다. 당시 청와대 관계자는 김 대표 발언 이후 다음날 예정되지 않았던 브리핑을 한 바 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