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내년 1분기 바이오프로세서 상업화"
16일 싱가포르서 '삼성전자 2015 인베스트 포럼' 개최
"웨어러블기기로 헬스케어 시장 공략....이미지센서, 차량용으로 확대"
삼성전자가 내년 초 바이오프로세서를 상업화할 계획이다. 모바일이나 웨어러블 기기를 통한 헬스케어 시장 공략은 물론,새로운 애플리케이션에 탑재하는 방안도 구상 중이다.
홍규식 삼성전자 시스템LSI사업부 마케팅팀장(상무)은 16일 오후 싱가포르 리츠칼튼 호텔에서 개최된 '삼성전자 2015 투자자(인베스터스) 포럼'에서 "내년 1분기에 바이오센서를 상업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홍 상무는 "바이오프로세서를 작고 효율적인 제품으로 만들면 보다 다양한 분야에서 수요가 있을 수 있다"면서 "특히 헬스 분야에서 많은 역할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심장 박동, 지방량 체크, 체온 측정 등 바이오 기능을 하나의 칩으로 통합한 센서를 사용하면 손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웨어러블기기에 탑재하면 보다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면서도 "삼성 기기에 들어가는 것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홍 상무는 '차세대 모바일 경험을 위한 혁신'이라는 주제로 한 강연에서 바이오프로세서의 성장 가능성과 함께 모바일 SoC(시스템온칩)와 이미지센서의 기술 동향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시스템반도체 분야에서는 이들 3개 부문에 역량을 집중해 나갈 계획이다.
그는 최근 독자 기술로 중앙처리장치(CPU)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통신(모뎀)칩, 그래픽칩 등을 하나로 묶은 원칩 솔루션으로 제시한 '엑시노스 8 옥타(8890)'를 설명했다.
최첨단 14나노 핀펫 공정을 적용한 프리미엄급 2세대 모바일 SoC로 기존 제품보다 속도는 30% 빠르면서 배터리 소모량은 10% 절감했다고 밝히며 이는 높은 성능을 요구하면서 배터리 수명은 길어지기를 원하는 기술적 패러독스에 돌파구를 찾으려는 노력의 산물이라고 강조했다.
홍 상무는 향후 개발 계획에 대해 “시장의 요구에 따라 10나노 공정을 통한 개발 시기가 결정될 것”이라며 “시장 상황에 맞춰 준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각 화소를 서로 격리시켜 간섭현상을 최소화하는 독자기술 '아이소셀' 공정 기술을 적용, 1600만 화소 카메라 모듈을 기존 제품 대비 약 20% 정도 얇게 만든 이미지센서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홍 상무는 현재 주력인 모바일 외에 다른 시장으로 이미지센서를 확대할 가능성에 대해 "차량용의 경우 15개 이미지센서가 동시에 작용해야 한다"며 "차량도 적용할 수 있는 분야"라고 밝혔다. 현재 삼성전자는 모바일 이미지센서 중심으로 생산하고 있으며 차량용 제품은 만들지 않고 있다.
이어 "로봇청소기도 이미지센서가 들어가있다"며 "새로운 기회를 계속 모색 중"이라고 말했다.
한편 삼성전자가 지난해 이후 6개월마다 개최하고 있는 '인베스터스 포럼'은 투자자 관심이 높은 주요 기술과 사업에 대해 설명하고 이에 대한 전략 방향을 밝히면서 시장과의 내용 공유를 통해 신뢰를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련된 행사다. 지난해 5월 홍콩에 이어 같은해 11월 뉴욕, 지난 6월에는 서울에서 각각 개최됐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