빗자루 폭행 계기 기간제 교사 상황 살펴 보니...
비정규직 교사 "교육부 교권 침해 통계에도 기간제 교사는 없어"
최근 경기도의 한 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이 기간제 교사를 폭행하는 동영상이 공개되며 큰 충격을 주고 있는 가운데, 기간제 교사들은 교권 침해를 당하고도 고용 불안 문제로 신고도 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민정 비정규직 교사 협의회 공동대표는 4일 SBS 라디오에 출연해 “기간제 교사들은 고용 불안 문제가 있어 교권 침해 사례를 제대로 알리지 못하는 게 현실”이라고 고발했다.
김민정 대표에 따르면 기간제 교사의 경우 불미스러운 일을 겪을 시 상황이 조정되는 것이 아닌 고용 문제와 직결돼 자신이 피해를 받고도 신고하기 어려운 현실이다. 때문에 현재 교육부가 발표하는 교권 침해 사례에 기간제 교사는 포함돼 있지 않다는 설명이다.
김 대표는 “기간제 교사의 교권 침해 통계는 아마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정교사의 경우 교권 침해를 당하면 학교운영위원회를 통해 학생을 징계한다든지 해결이 가능한데, 기간제 교사의 경우 전근·병가 없이 채용 중단으로 이어진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김 대표는 자신이 겪은 사례를 통해 기간제 교사들이 처한 현실을 고발했다.
그는 “학생이 교재를 안 가져와 야단을 쳤더니 돌아오는 답변은 ‘선생님 속옷 보러 온다’는 등의 성추행성 발언이었다”며 “이런 일을 겪어도 말을 못하는 것은 능력이 없거나 학생들을 통제하지 못한다는 식으로 소문이 날까봐 조용히 있는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그는 “이런 문제로 조금 시끄러워지면 당장 해고의 위험도 있고, 지역 학교의 경우 관리자들이 서로 친분이 있어 다른 학교로 옮기는 것도 어려워질 수 있다”며 기간제 교사들의 고충을 털어놨다.
그러면서 그는 “우리 교육을 위해서도 정교사가 필요한 자리에는 정교사를 꼭 채용하고, 수업과 생활지도 면에서는 기간제 교사와 정교사의 대우를 동일하게 해줘야 한다”고 호소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