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출범 3년, 위해식품 판매차단 역량 두배 '껑충'
백화점, 마트, 위해식품판매차단시스템 설치 확대...동네슈퍼 무상지원
뉴스를 보다보면 하루가 멀다 하고 각종 불량식품 기사가 터진다. 혹시 나도 모르는 사이에 불량식품을 구매하지는 않을까 걱정하는 경우도 다반사다.
하지만 이런 걱정은 잠시 접어두어도 좋을 듯하다. '위해식품판매차단시스템'이 소비자나 판매자를 대신해 모든 불량식품을 알아서 골라내기 때문이다.
'위해식품판매차단시스템'은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에서 수거·검사, 지도·점검 또는 기획감시 등을 통해 위해식품으로 적발한 불량식품을 통보와 즉시 마트 계산대에서 자동으로 차단하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소비자가 마트 계산대에서 계산을 위해 식품 바코드를 찍으면, 불량식품인 경우 판매차단 메시지가 뜨고 결재가 불가능하게 된다.
국내 최초로 개발해 운영하기 시작한 '위해식품판매차단시스템'은 정부의 안전관리시스템과 민간 유통물류 시스템을 연계한 대표적인 민관협력 안전관리 시스템이다.
이미 2014년 아·태 경제협력체(APEC)의 식품안전협력포럼에서 '식품감시 우수사례'로 발표되는 등 세계적으로도 혁신적인 식품안전관리 시스템으로 인정받은 바 있다.
식약처 관계자는 "이러한 성과는 무엇보다도 불량식품의 유통을 근절하고자 하는 현 정부의 강력한 의지와 이를 토대로 출범한 식약처가 민간에까지 그 당위성을 설득해 광범위한 민간업체의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 낸 결과"라고 말했다.
2009년부터 시범사업을 통해 처음 도입된 '위해식품판매차단시스템'은 식약처가 처로 승격된 2013년부터 적극 활성화돼 2012년까지 3만여 개소에 불과했던 설치 매장이 지난해에는 6만4000여 개소로 두배 이상 증가했다.
이 시스템을 설치한 업체관계자에 따르면 처음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해 필요한 개발비용과 시스템 운영비 등 비용부담으로 사업도입을 주저하기도 했다고 한다.
하지만 이 관계자는 "결국 식품안전을 선도하는 기업만이 소비자의 선택을 받을 수 있다는 식약처의 설득에 결국 시스템을 도입하게 됐고 지금은 시스템 덕을 톡톡히 보고 있다"고 전했다.
현재 이 시스템은 소비자가 많이 이용하는 백화점, 대형마트 또는 편의점 등에는 거의 모든 곳에 설치돼 있다. 이런 추세로 설치·지원이 지속적으로 이뤄진다면 내년에는 식품을 유통하고 판매하는 전국의 거의 모든 매장에 시스템이 설치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식약처에 따르면 현재 이들 설치 매장을 이용하는 이용객 수는 일평균 약 2300만여 명에 이르고 있다. 경제활동인구수가 약 2500만명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경제활동을 영위하는 국내 인구의 약 93% 정도가 알게 모르게 '위해식품판매차단시스템'의 혜택을 받고 있는 셈이다.
식약처는 골목상권 안전 확보를 위해 비교적 영세한 동내슈퍼에 대해서는 무상으로 시스템을 설치를 지원하고 설치매장 마크를 제공해 주고 있다. 설치를 희망하는 슈퍼 운영자라면 식약처나 가까운 시·군·구에 문의하면 무료로 설치가 가능하다.
식약처는 "올해부터는 직장인들이 많이 이용하는 집단급식소로 시스템 설치를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