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선하기도전에...예비후보간 네거티브부터...
춘천 새누리당 예비후보 3명, 김진태 꺾기 위해 단일화
전문가 "선거구 미획정에 예비후보들, 현역 향한 불만 심화"
아직 선거구가 마련되지 않은 20대 총선이 3개월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예비후보들의 네거티브 전략(부정적이거나 반감을 살만한 것들을 부각시키는 방법이나 전략)이 벌써부터 시작됐다. 눈여겨 볼 점은 이들의 네거티브 대상은 상대당 후보가 아니라 자신이 출마하려는 지역의 같은당 현역 의원이라는 점이다.
지난 13일 춘천에 나설 새누리당 예비후보 3명(이광준 전 춘천시장, 이달섭 전 3군수지원사령관, 이수원 전 특허청장)이 후보 단일화에 합의했다. 현역 의원인 같은당 김진태 의원을 꺾기 위해서다.
본선을 앞두고 지지율이 높은 상대 당 후보를 꺾기 위해 나머지 당 후보들이 단일화를 하는 경우는 종종 있어도 당내 경선에서부터 같은당 현역 의원을 꺾기 위해 나머지 예비후보들이 뭉치는 것은 다소 이례적인 일이다.
소식을 접한 김 의원은 자신의 SNS에 즉각 불쾌감을 드러냈다. 그는 14일 "예비후보도 단일화를 하나요? 경선도 하기 전에 같은 당끼리 그러는 게 어딨어요?"라며 "그러지 말고 저도 거기 끼워주세요"라고 남겼다. 차분한 어조의 글이긴 했지만 불편한 감정이 묻어났다.
김 의원은 이후 '데일리안'과의 통화에서 "경선을 한 번 치르고 결선투표에서 단일화를 하는 것도 아니고 경선에서 이런 것은 처음 본다. 완전 코메디 같은 모양새"라고 발끈했다. 또 "같은 당끼리 다투는 모습을 보이면 지역 민심만 나빠질 뿐"이라며 "현역 의원의 입장에서는 상향식 공천의 부작용이라는 생각도 든다"고 상향식 공천제를 내세우고 있는 김무성 대표를 우회적으로 지적하기도 했다.
단일화에 합의한 3명의 춘천 예비후보는 향후 단일화 시기와 후보 결정방식, 세부 절차 등을 논의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함께 경북 경주에서도 현역 의원을 향한 네거티브가 쏟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 곳에 출마를 결심한 한 새누리당의 예비후보는 정수성 후보를 향해 "시장과 소통이 안 된다", "자기 밖에 모른다" 등 음해성 발언을 계속 내놓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서울 강남의 한 지역구에서도 예비후보들이 현역 의원을 향해 부정적인 소문을 퍼뜨리고 있는 상황이다. 본디 네거티브 전략이란 상대적으로 인지도가 약하거나 선거 판세가 불리한 쪽이 분위기 반전과 인지도 상승을 위해 하는 경우가 많다. 일종의 약자가 강자에게 어필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인 것이다.
네거티브를 당하는 대상은 대체로 크게 개의치 않아하는 경우가 많다. 이미 앞서고 있는 상황에 맞대응을 펼칠 경우 상대의 전략에 말릴 수 있다는 이유이다. 하지만 네거티브로 인한 해당 지역의 분위기는 그 누구도 예상할 수 없다. 네거티브는 사실 여부를 떠나 표심을 움직이는 요소가 될 수도 있다. 실제로 한 여당 의원은 "예비후보들의 네거티브 전략이 큰 선거판으로 볼 때는 별로 신경이 쓰이지 않다"면서도 "지역에 가보면 그런 이야기를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 있어 부담으로 느껴지기도 한다"고 털어놨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이런 상황을 보면서 "같은 당끼리 네거티브를 펼치는 것이 새로운 현상은 아니다. 선거 때마다 매 번 봐오던 상황"이라며 "새누리당은 상향식 공천을 고수하고 있는 상황이라 더욱 당 내 네거티브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신 교수는 기자와의 통화에서 본보에 "예비후보의 경우 아직도 선거구 획정이 안 돼 있어 자신들의 선거운동 기회가 봉쇄됐다는 박탈감에 현역 의원을 향한 네거티브를 더욱 강하게 펼치는 면도 있다"며 "그러나 당 내 다툼은 본선에서 상대당으로 하여금 공격을 할 수 있는 빌미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현역 의원을 향해 상대 당 예비후보가 공격을 시작한 곳도 있다. 3선의 한선교 새누리당 의원이 있는 경기 용인병 지역이다.
김종희 더불어민주당 용인병 지역위원장은 14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 의원은 2년 전 실체가 불분명한 비영리 민간단체인 '정암문화예술연구회'를 만들어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5억원의 국고보조금을 지급받았다는 의혹을 받은 바 있다"고 지적했다.
앞서 한 인터넷 매체는 지난 2014년 1월 28일, 한 의원이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간사 시절 '정암문화예술연구회'라는 비영리민간단체를 만들어 피감기관인 문체부로부터 국고보조금 5억 원을 신청, 하루 만에 지급받았다고 의혹을 제기한 바 있다. 이 사실을 다시 끄집어 낸 것이다.
김 위원장은 "명의를 도용해 비영리 민간단체를 조직하고, 단체 회원들에게 거짓을 말하게 하고, 여당 간사라는 직위를 이용해 불법으로 국가보조금 5억원을 지급받은 것은 더 이상 의혹으로 남겨두지 말고 해명할 필요가 있다"고 압박했다.
한 의원은 이에 대해 "국고보조금을 받는 과정에서 불법은 없었고, 회원동의는 모두 보좌진들이 받은 것으로 자신은 잘 모르는 일"이라는 입장을 내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