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일어설 기회’ 서울시, 노숙인 2226명에 일자리 지원
예산 81억원 투입, 민간·공공 분야 등에 노숙인 취업 연계
서울시가 노숙인 재기를 돕기 위해 2226명을 위한 일자리를 마련했다.
3일 서울시는 ‘2016년 노숙인 일자리 종합대책’을 발표해 올해 총 81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노숙인 2226명에게 일자리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시에 따르면 서울시내 거리에서 생활하거나 자활시설 등에 거주하는 노숙인 중 근로활동에 참여한 노숙인은 2014년 40%(3952명 중 1617명)에서 2015년 말 기준 60%(3708명 중 2200명)로 늘어난 것으로 파악된다.
이에 서울시는 총 81억원의 예산을 들여 민간일자리 1150명, 공공일자리 890명, 노숙인 공동작업장 450명, 쪽방 자활작업장 60명 등 4개 분야로 대책을 추진할 계획이며, 아울러 민간일자리는 리조트·호텔·건설사 등 대형 민간기업과의 협력관계를 2015년 244개소에서 300개소 까지 확충할 방침이다.
공공 일자리는 근로능력에 따라 ‘특별자활사업’(682명)과 ‘일자리 갖기 사업’(212명), 두 가지로 지원한다. 특별자활사업은 장애인, 질환자 등 근로능력이 미약한 노숙인에게 보호시설 및 주변 청소, 급식보조 등 일자리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노숙인 공동작업장은 올해 2개소를 추가해 서울시내 총 14개소에서 450여 명의 노숙인에게 일거리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곳에서는 쇼핑백 접기, 양초 제작, 전기제품 포장, 장난감 조립 등 단순노무 형태의 가내수공업 위주로 이뤄진다.
남원준 서울시 복지본부장은 “파산, 건강상 이유 등으로 좌절과 실의에 빠진 노숙인들에게 다시 일어설 기회를 주는 것이 함께 살아가는 사회 구성원들의 몫이다”며 “지속가능한 일자리를 통해 노숙인이 사회에 복귀하고 경제적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이번 종합대책을 빈틈없이 추진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