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차세대 방탄복’ 성능 실험 결과 조작 의혹


입력 2016.03.04 14:45 수정 2016.03.04 14:46        스팟뉴스팀

새 방탄복도 ‘뚫리는 방탄복’ 비리 혐의 회사에 다시 맡겨

방위사업청이 도입하기로 한 ‘차세대 방탄복’이 시험평가 결과가 조작된 불량 제품일 가능성이 제기됐다. (자료사진)ⓒ연합뉴스

지난 2015년 적발된 ‘북한군 소총에 뚫리는 방탄복’에 이어 그 이후에 만들어진 신형 방탄복도 불량 제품일 가능성이 커졌다.

서울중앙지검 방위사업수사부(부장 박찬호)는 3일 방위산업체인 S 사에서 실장을 지낸 예비역 대령 김모 씨에 대해 군용물 절도와 허위공문서 작성 등 혐의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검찰은 방위사업청이 도입하기로 한 ‘차세대 방탄복’의 납품계약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김 씨가 해당 제품의 시험평가 결과를 조작한 혐의를 포착해 2일 김 씨를 체포하고 S 사를 압수 수색했다.

검찰은 김 씨가 화랑대 연구소장을 지낼 당시 S사의 방탄복이나 방탄유리 성능실험에 사용하기 위해 실탄 400여 발을 훔친 것으로 보고 있다. 또 방탄유리 성능 실험 결과와 관련, 허위 평가서를 작성했는지를 확인하고 있다.

S 사는 앞서 방위사업비리 정부합동수사단이 적발한 ‘뚫리는 방탄복’을 육군 특전사에 납품한 혐의를 받은 업체다. 2015년 5월 적발 당시 합동수사단은 시험평가 결과 조작에 관여한 현역 군인 3명과 S 사 임원 2명 등을 재판에 넘겼다.

하지만 이 문제가 불거진 이후에 방위사업청이 S 사에 다시 신형방탄복 2만4000세트(170억 원 규모)를 도입하기로 계약을 맺어 논란이 됐었다. 방위사업청은 “기존 방탄복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기능과 성능을 향상한 신형 제품”이라며 문제가 없다고 설명했다.

검찰은 김 씨의 신병을 확보하는 대로 공모한 방위사업청 또는 군 관계자가 있는지, 납품을 대가로 받은 것이 있는지 등을 조사할 계획이다.

한편, 4일에는 해안 복합 감시체계 사업에서 불량품이 납품된 단서가 포착돼 수사가 시작됐다. 방위사업청이 400억 원가량을 들여 해안지역 감시 시스템을 강화하는 사업이다.

검찰은 납품 장비 일부가 군의 요구 성능에 못 미치거나 평가·검증이 면밀하지 않았다는 의혹을 확인하기 위해 해안복합감시체계 사업 관련 자료를 받아 성능미달 제품납품, 허위 평가서 작성 등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스팟뉴스팀 기자 (spotnews@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스팟뉴스팀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