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란 집합소' 클린공천지원단, 활동 하나보니...
사건 조사 후 공관위에 보고...공관위서 제재 조치
지원단 위원 "진상조사 사안 자격심사에 반영될 것"
지난달 말 새누리당에서 발생한 살생부 파문과 여론조사 유출 사건, 윤상현 의원의 막말 파문 등 당의 모든 내홍이 공직선거후보자추천관리위원회 산하 클린공천지원단의 진상조사만을 기다리고 있다. 그러나 정작 사안을 매듭지어야 하는 막중한 임무를 떠맡은 클린공천지원단은 감감무소식이다.
당 최고위원회는 10일 클린공천지원단에 윤 의원의 발언에 대한 진상조사를 맡기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김 대표가 없을 때 이뤄진 의결이어서 제대로 추진될 지는 미지수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이름에서는 실무 내용이 명확히 드러나는 데 반해 드러나는 활동은 미진한 것이 아닌가 하는 이야기도 나온다.
단장 김회선 의원을 비롯해 9명의 위원으로 구성된 클린공천지원단은 공천 신청 및 당내 경선을 전후하여 당 후보자들의 허위 비방, 흑색 선전 등 악의적인 선거운동 및 부정 탈법 행위를 감시 적발하기 위한 조직이다. 특히 도덕성, 개인 신상, 경쟁력에 문제가 있거나 해당 행위를 한 전력이 있는 공천신청자들은 배제한다는 방침이다.
당내 경선과정에서 부정 탈법 선거행위가 발생할 시 사건을 조사한 뒤 결과를 공천관리위원회에 보고하고, 공관위가 사안의 경중에 따라 시정명령, 경고, 후보 자격 박탈 등 제재 조치를 하게 된다.
한 클린공천지원단 위원은 11일 '데일리안'과의 통화에서 "처음에 시작할 때는 (회의에 참석) 했는데 요즘은 지역에서의 일을 보라고 배려를 해주셨다"며 최근에는 회의에 참석하지 않고 있어 진행 사안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다고 밝혔다. 그는 "제보나 진정서가 들어오는데 시작할 때는 한 20건 내외가 들어왔는데 지금은 조금 더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어 진상조사를 거친 사안이 자격심사에 반영이 되고 있느냐는 질문에는 "공관위의 자격심사 소위 실무 기구이기 때문에 우리가 조사한 사안이 자격심사 소위로 넘어가고 거기서 김회선 의원이 정리하고 다시 공관위에 넘어간다"며 "시스템이 그렇게 돼 있으니까 아마 (반영될 것)"이라며 확답을 내놓지는 않았다.
19대 총선 때도 클린공천공천지원단의 활동이 있었으나 결과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4.11 총선 공천에서는 '현역의원 25% 컷오프' 잣대로 삼은 여론조사를 두고 조작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이에 대해 당시 지원단 위원장을 맡았던 김옥이 전 의원은 "사실로 밝혀지면 공천 탈락을 포함해 엄단할 것"이라고 밝혔지만 의혹이 수면 위로 드러나지도 않은 채 논란은 잦아들었다.
공관위원인 홍문표 제1사무부총장은 이날 "(공관위가) 심사를 하는데 클린공천지원단이 절대적인 영향을 행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원단이 당내 계파 갈등으로부터 파생되는 논란에 얼마나 엄중히 대처하는가에 정가와 여론이 주목하고 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