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일본 연구자가 밝혀낸 ‘증발한 조선인 징용자 13만 명’


입력 2016.04.08 11:32 수정 2016.04.08 11:33        스팟뉴스팀

일제 강제징용 연구자…일본 방위성 자료 토대로 검증

일제 강제동원 문제를 연구해온 일본인 역사 연구자 다케우치 야스토씨가 일본 방위성 자료 등을 토대로 작년말 ‘오하라 사회문제연구소 잡지’에 발표한 논문 ‘조선인 군인·군속(군무원)의 강제동원 수…37만 명 이상의 동원과 지워진 성명 불상의 13만 명’. ⓒ연합뉴스

일본인 연구자가 일제에 징용된 조선인 군인·군무원 가운데 약 13만 명의 이름과 신상 기록이 일본 정부가 보유한 명부에서 빠졌다고 밝힌 사실을 연합뉴스가 단독 보도했다.

다케우치 야스토 씨(59)는 일제 강제동원 문제를 연구해온 일본인 역사 연구가다. 그가 2015년 말 일본 방위성 자료 등을 토대로 ‘오하라 사회문제연구소 잡지’에 발표한 논문 ‘조선인 군인·군속(군무원)의 강제동원 수…37만 명 이상의 동원과 지워진 성명 불상의 13만 명’에서 이 같은 사실을 알렸다.

논문에 따르면 1956년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 제1과가 만든 ‘조선인 전몰자 유해 문제에 관한 건’ 자료에서 일제에 징용된 조선인 군인·군무원 수는 육군 25만7000 명, 해군 약 12만 명 등 합계 37만7000 명으로 적시됐다.

이는 일본 후생성이 일제 강점기에 강제 징병 된 한국 군인·군무원 등의 병적을 일본 부대장들의 보고를 토대로 작성한 문서인 부대 원부와 유수 명부 등을 토대로 1950년대 집계한 것이다.

그러나 1962년 일본 후생성은 한일국교 정상화 협상을 진행하며 ‘조선 재적 구 육·해군 군인군무원 출신자별 통계표’에서 조선인 군인·군무원의 수를 육군 14만3373명, 해군 9만8968명 등 합계 24만2341명이라고 했다.

6년 사이에 육군 11만여 명, 해군 2만여 명 등 징용된 조선인 군인·군무원 약 13만 명이 일본 정부 통계에서 빠진 것이다.

다케우치 씨는 일본 정부가 육군의 경우 명부에 이름이 남아 있는 피징병자를 ‘명부 내’, 남아있지 않은 사람을 ‘명부 외’로 분리한 채 통계 자료를 만든 사실을 확인했다고 지적했다. 육군 ‘조선인 인원표’ 상에 명부 내로 분류된 사람 수는 1962년 후생성 통계치와 거의 일치했다.

그러면서 조선인 피징병자 수가 대거 ‘증발’한 원인이 여기에 있다며, 일본 정부가 보유한 명부에 이름이 남아있지 않은 사람을 통계에서 빼고 1962년 재집계했다고 알렸다.

다케우치는 “일본군의 조선인 군인·군무원 명부 관리가 엉망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며 “존재했으나 명부가 없다는 이유로 50년 이상 그 존재가 지워진 약 13만 명에 대해 일본 정부는 진상을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선인을 군인이나 군무원으로 동원한 것은 1938년 육군지원병제도가 도입되면서 시작됐다. 이후 태평양전쟁 말기인 1944년, 전황이 불리해지자 조선에서 징병제를 도입한 일본은 패전할 때까지 조선인을 징병해 전쟁터로 내몰았다.

스팟뉴스팀 기자 (spotnews@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스팟뉴스팀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