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청 “학적처리는 학교장권한, 사전협의 없었던 것 유감”
세월호 참사로 희생된 안산 단원고 학생 250명이 전원 제적 처리된 것으로 확인됐다.
9일 경기도교육청과 단원고 등에 따르면 단원고는 지난 1월 21일 ‘세월호 참사 희생(실종) 학생 학적처리 협조 요청’ 공문을 경기도교육청에 보냈다.
공문에는 “2016년 개학 이전에 세월호 참사로 희생(실종)된 학생들의 학적을 제적처리 하고자 함”이라는 내용과 “관련 법령을 검토, 학적 처리 지침을 이른 시일 내에 시달해달라”는 요청이 담겼다.
도 교육청은 “학적처리(학년과정의 수료 또는 졸업 인정) 권한은 학교장에게 있다”며 “학생이 사망했을 경우 이를 확인할 수 있는 공적인 서류를 받아 내부결재를 통해 제적처리 해야 한다”고 회신 공문을 보냈다.
이에 따라 세월호 희생 학생 246명은 전원 제적 처리됐으며, 실종학생 4명은 유급 처리됐다. 하지만 뒤늦게 사실을 알게 된 희생 학생 유족들은 해명을 요구하고 있다. 현재 세월호 유족 60여 명은 단원고 행정실 앞에 모여 대기하고 있는 상태다. 일부 유가족은 실신해 인근 병원으로 옮겨지기도 했다.
단원고 측은 2016학년도 신입생 입학 및 재학생의 진급으로 학적을 현 상태로 유지하기가 어려워 지난 1월 희생 학생들의 학적 처리가 불가피했다는 뜻을 알렸다.
도 교육청 관계자는 1학년 신입생이 들어오면서 4개 학년이 있을 수 없는 상황에서 학적을 정리할 수밖에 없었다며 유가족과의 사전 협의 과정 없이 진행된 점에 대해 대단히 유감스럽게 생각하고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경기도와 도의회, 경기도교육청, 416가족 협의회, 단원고 등 7개 기관·단체 대표는 이날 오후 안산 정부 합동분향소에서 희생 학생들이 사용하던 단원고 기억교실(존치교실) 이전 문제의 사회적 합의를 담은‘ 4·16 안전교육시설 건립을 위한 협약서’에 서명했다.
이 협약식 이후 정광윤 교장이 실신해 학교 관계자 대부분이 병원에 있어 단원고 측은 공식 견해를 밝힐 수 없는 상태다.
앞서 경기도교육청과 학교 측이 추진한 희생 학생들의 명예졸업식은 일부 학생과 교사가 돌아오지 못한 상태에서 수습된 학생만 먼저 졸업을 시킬 수는 없다는 유가족의 요구로 연기된 상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