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현대상선 경영정상화 최대 고비 '용선료 협상' 10일 결판


입력 2016.06.09 19:00 수정 2016.06.09 19:10        박영국 기자

20%인하시 연간 2000억 비용절감

이달 말 본계약→얼라이언스 편입→7~8월 채권단 채무조정

현대상선 컨테이너선.ⓒ현대상선

현대상선의 경영정상화 과정에 있어 최대 고비인 해외 선주들과의 용선료 인하 협상의 향방이 10일 판가름 난다.

현대상선은 이날 용선료 인하 협상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현대상선의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 역시 용선료 인하 협상 결과에 대한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용선료 인하 자체만 놓고 보면 협상 결과는 긍정적일 것으로 보인다. 현대상선은 지난주 사채권자 집회를 앞두고 “용선료 조정에 대한 상당한 진척을 이뤘으며 조속한 시일 내 합의가 나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면서, 특히 가장 큰 이슈였던 5개 컨테이너 선주사들과의 협상에서 매우 의미 있는 진척을 보였다고 밝힌 바 있다.

용선료 비중이 높은 다나오스(13척), 조디악(6척), 이스턴퍼시픽·나비오스·캐피털십매니지먼트(각 5척) 등 컨테이너 선주들과의 용선료 인하 협상은 마무리됐으나, 벌크 선주들과 보상안 및 이자율 등의 세부 조율이 그동안 협상 결과 발표가 늦어지는 주요 원인이었다.

하지만 정부가 지난 8일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 이후 가진 브리핑에서 이번주 중 현대상선의 용선료 협상이 마무리 될 것이라고 밝힌 점에 비춰볼 때 벌크 선주들과의 세부 조율도 원만하게 끝난 것으로 보인다.

용선료 인하 폭은 당초 목표로 잡았던 28%보다는 낮은 20% 선이 될 것으로 보인다. 용선료 인하 협상에 성공하더라도 채권단이 20% 초반대의 용선료 인하 폭을 수용해야만 채무조정이 가능해진다.

정부가 산업경쟁력강화 브리핑에서 이번 주 용선료 협상 마무리와 이달 중 해운동맹 편입, 7~8월 채권단 출자전환 등의 스케줄을 기정사실화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채권단이 현대상선의 용선료 협상 결과를 수용할 가능성은 높아 보인다.

현대상선 회생은 20% 수준의 용선료 인하만으로도 큰 도움이 된다. 현대의 지난해 용선료 지급액은 9760억원에 달하며 여기서 20%를 인하하면 연간 2000억원 가량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날 협상 결과가 발표되더라도 용선료 조정이 최종적으로 마무리되려면 좀 더 시간이 필요하다. 기존 용선료 계약을 새로운 합의금액으로 다시 체결해야 하는 만큼, 의향서(LOI) 교환과 양해각서(MOU) 체결 등을 거쳐 본계약은 이달 말이나 체결될 전망이다.

즉, 이번 용선료 인하 협상 결과 발표는 해운동맹 편입에 유리한 조건을 만들고 채권단에 자율협약 수용 명분을 제공하는 차원에서 이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해운동맹 편입문제도 당초 현대상선이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던 ‘THE 얼라이언스’에서 현대상선을 제외한 이유가 법정관리 리스크였던 만큼, 용선료 인하 협상이 타결되면 가입에는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THE 얼라이언스에 편입되려면 기존 회원사들의 전원 동의가 필요하다. 하지만 기존 6개 회원사 중 하팍로이드, MOL, NYK는 기존 현대상선과 G6 얼라이언스에서 함께하던 멤버들이고, 국적선사인 한진해운도 현대상선의 편입에 반대할 이유는 없다.

정부 차원에서도 현대상선의 해운동맹 편입을 적극 지원하겠다는 입장인 만큼 이달 말까지 회원사들의 동의서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현대상선의 해운동맹 편입까지 완료되고 채권단이 현대상선의 용선료 인하 협상 결과를 수용하면, 현대상선은 총 1조3898억원 규모의 채무를 조정 받게 된다.

오는 7~8월 사이 6839억원의 채무가 출자 전환돼 채권단이 40%의 지분율로 1대 주주로 올라서게 되며, 2000억원 규모의 CB발행 인수도 이뤄진다. 잔여채권 5059억원에 대해서는 5년간 원금 상환이 유예되고, 이자율도 1~2% 선으로 인하된다.

기존 대주주였던 현정은 회장과 현대엘리베이터, 현대글로벌 등 현대 계열 지분은 오는 7월 15일 임시주주총회에서 대주주 지분 7대 1 감자안이 통과될 경우 기존 22.6%에서 1.4%로 축소돼 경영권을 상실하게 된다.

최고경영진도 교체된다. 정부는 업계 이해도가 높은 해운 전문가를 현대상선의 CEO(최고경영자), CFO(최고재무책임자)로 선임하고, 공공경영체제(Governance)로 개편한다는 방침이다.

정부의 선박 신조 지원도 받을 수 있게 된다. 채권단 출자전환이 이뤄지면 선박 신조 지원 프로그램의 전제조건인 ‘부채비율 400% 이하’ 기준을 맞출 수 있기 때문이다.

현대상선 부채비율은 지난 3월 기준 5309%에 달했으나, 채권단 출자전환 이후 226%까지 떨어진다.

지난 3월 발표된 선박 신조지원 프로그램은 기존 12억달러를 투입해 1만3000TUE급 컨테이너선 10척을 지원한다는 내용이었으나, 향후 수요를 판단해 규모를 늘리거나 대상 선종을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운항 효율이 높은 대형 컨테이너선을 용선이 아닌 사선(자체보유)으로 보유할 경우 비용경쟁력이 높아져 현대상선 경영정상화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박영국 기자 (24pyk@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