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29명 탑승' 인도 수송기 실종 9일째…아무 흔적 못 찾아


입력 2016.07.30 16:32 수정 2016.07.30 16:32        스팟뉴스팀

지난 22일 실종 '인도 공군 수송기' 미국에 인공위성 신호 확인 협조 요청

29명이 탑승한 인도 공군 소속 수송기 1대가 실종된 지 9일이 지났지만 아무런 흔적을 발견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30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지난 22일 인도 공군 소속 AN-32 수송기가 남부 첸나이에서 안다만제도로 가다가 실종된 지 9일째가 됐지만 아무런 흔적을 발견하지 못한 인도 정부는 미국 정부에 실종기의 신호를 인공위성이 포착한 게 있는지 살펴달라고 협조를 요청했다.

마노하르 파리카르 인도 국방장관은 전날 의회에 출석해 "나와 공군 수뇌부 모두 AN-32의 갑작스러운 실종에 당황했다"면서 "아직 아무런 신호도 찾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파리카르 장관은 "AN-32 실종 지점이 인도군 레이더의 사각지대 경계선에 있다"고 설명했다.

인도 남부 첸나이와 안다만 제도 사이에는 150∼200해리 정도 인도군 레이더의 탐지 범위가 미치지 않는 곳이 있는데 실종 지점이 이 부근이어서 수색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실종 지역 주변 해역 수심이 3300∼4000m에 달하는 것도 수색을 어렵게 하고 있는 상황이다.

실종기에는 비상시 작동하는 위치 신호 발신기가 설치돼 있지만 지금까지 위치 신호는 포착되지 않고 있다. 항공기가 물속에 추락했을 때에는 발신기가 작동하지 않은 사례가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22일 오전 8시30분 첸나이 공군기지에서 이륙한 AN-32는 이륙 42분 뒤인 오전 9시12분 인도양 벵골만 해역 상공에서 레이더에서 사라졌다.

사라지기 직전 AN-32는 7000m 상공에서 급격히 고도가 낮아졌지만 긴급 구조 요청 등은 없었다. 다만 실종 7~8분 전에 조종사가 적란운을 피해 오른쪽으로 우회하겠다고 말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아직 실종기의 상태나 실종 당시 상황을 알 수 없지만 적의 공작에 의한 파괴가능성은 낮다고 보고 있다.

아울러 조종기는 당시 충분한 사용연한이 남아 있었으며 적절한 점검을 받았고 조종사도 해당 구간을 500시간 이상 운항한 바 있다.

당국은 해군 함정과 잠수함, 초계기 등을 동원해 수색작업을 진행 중이다.

스팟뉴스팀 기자 (spotnews@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스팟뉴스팀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