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보라 "임금체불자 5명 중 1명 '청년'"
"올해 청년 임금체불액만 940억원…근로감독 강화 절실"
"올해 청년 임금체불액만 940억원…근로감독 강화 절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신보라 의원(새누리당·비례대표)이 고용노동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8월 임금을 제때 받지 못한 청년들은 4만 4000명으로 전체 임금체불 근로자(21만 4052명)의 20.7%에 해당하는 수치를 보였으며 이들의 임금체불액은 약 94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최근 3년간 고용노동부에 신고된 청년들의 임금체불액(8월 기준)은 2014년 768억 6200만 원에서 2015년 792억 3900만 원으로 늘어났으며, 올 8월에는 937억 4000만 원으로 지난해 보다 145억 원 이상 증가한 모습을 보였다.
이와 함께 청년임금체불자수 및 체불사업장수도 매년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돼 청년들의 임금체불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올 8월 기준으로 청년들의 임금체불액은 지자체별로 △서울(248억 5900만 원) △경기(215억 8300만 원) △경남(86억 3000만 원) △경북(76억 2800만 원) △부산(58억 2100만 원) △인천(41억 9500만 원) 등의 순으로 많았다.
업종별로는 △제조업(310억 3200만 원)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215억 8100만 원) △기타(182억 3200만 원) △금융보험부동산 및 사업서비스업(97억 2600만 원) 순으로 나타났다.
신 의원은 “민족 최대의 명절인 추석을 앞두고 청년들이 당면한 임금체불문제가 심각하다”며 “청년 실업률이 해마다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는 상황에서 청년들의 임금체불문제 또한 해마다 심각해지는 것은 매우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또한 “청년들의 임금체불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용노동부는 청년근로자들이 일하는 사업장에 대해 보다 강화된 근로감독이 절실하다”며 “청년을 울리는 임금체불사업장에 대한 실효성 있는 제도적 보완점을 강구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