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이정현 대표 단식농성? 소가 웃을 상황"
관훈클럽 토론회서 정부와 정치권 향해 쓴소리
"청년정책 여야 없어" 청년수당 필요성 호소하기도
관훈클럽 토론회서 정부와 정치권 향해 쓴소리
"청년정책 여야 없어" 청년수당 필요성 호소하기도
박원순 서울시장이 이정현 새누리당 대표의 무기한 단식 농성을 두고 “소가 웃을 상황”이라며 날선 비판을 가했다. 27일 관훈클럽 주최로 열린 토론회에 참석한 박 시장은 현 정부와 여야를 막론한 정치권에 작심한 듯 쓴소리를 쏟아냈다.
이날 박 시장은 서울 중구 한국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수권정당으로서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이 부족한 것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답변하던 중 “국민들은 지금 여야, 진보·보수가 중요한 게 아니고 내 삶을 지켜주고 내 삶을 바꿔주는 정치를 원하고 있다”며 “오늘 여의도에서도 여당 대표가 농성을 하고 있는데 정말 소가 웃을 상황이지 않나”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박 시장은 “여당은 집권당으로 책임이 크지만 야당 역시 파국을 조속히 정리해서 국민들 바라는 삶의 정치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야권에 대해서는 “지난번 4·13 총선의 민의가 결국 야당에 표를 몰아줬고 여소야대를 만들었는데, 그렇다면 야당은 국민이 바라는 정치혁신과 개혁을 해냈어야 했다. 다시 말해 이른바 패권정치, 특권정치가 변함없이 유지되고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그는 이 대표 단식농성의 직접적 계기가 된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의 해임건의안에 대해 박근혜 대통령이 수용 불가 입장을 밝힌 것과 관련해서는 “결국에는 소통에 리더십과 관계된 문제”라며 “(4·13 총선이) 청와대와 의회 사이에 협력과 상생관계를 만들라는 메시지라고 생각하는데, 이번 사태는 삼권분립이라는 정신과 국회의 견제기능이라는 헌법의 취지를 거부한 것이고 무시한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입장을 밝혔다.
박 대통령에 대한 평가를 묻는 질문에는 “국가원수에 대해 언급하는 것은 예의가 아니라고 생각한다”면서도 “다만 아쉽게는 생각했다. 대한민국 수도 천만 서울을 책임지는 수장으로서 중앙정부와 협력할 것이 정말 많은데, 지난 몇 년간 한 번의 개인적인 긴밀한 대화가 없었다는 것은 참으로 유감”이라며 청와대와의 소통 부재 상황에 대한 아쉬움을 드러냈다.
그는 질의응답에 앞선 모두발언에서도 ‘소통의 부재’를 현 정부의 문제점으로 꼬집으며 “민주주의 퇴행과 권위주의 부활”이라고 직격했다. 박 시장은 모두발언에서 “모든 권력이 청와대에 집중되면서 주요 국정과제가 대통령 한 사람에 의해 좌우된다”면서 “합리적 토론과 국민과의 소통 없이 모든 주요 국정과제가 결정되면서 민주주의는 후퇴했고, 청와대 참모들과 장관들은 대통령 눈치만 살피는 조직이 됐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그는 “경제와 안보에서는 유능하다던 보수정당이 집권했던 지난 8년 경제는 더 어려워졌고, 안보상황은 더 악화됐다”며 “정권교체를 넘어 시대를 교체하고 미래를 바꿔야 한다. 소통과 현장, 협치로 국민권력시대를 열어가자”고 정권교체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청년정책에 중앙과 지방이 따로 있나”…청년수당 적극 호소하기도
한편, 박 시장은 논란이 되고 있는 서울시의 청년수당 정책에 대해서도 입장을 밝혔다.
그는 ‘청년수당을 계속 밀고 나갈 생각이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 “서울의 청년들과 지난 몇 년을 같이 논의하며 만든 것이 청년보장정책이고 그 중에 하나가 청년수당”이라며 “중앙정부는 ‘무엇을 해라 그러면 지원하겠다’는 것이지만, 서울시는 ‘너희가 무엇을 하고 싶냐. 한 번 해봐라’라는 것으로 말하자면 청년을 신뢰하냐 안하냐의 차이”라고 말했다.
이어 “중앙정부가 일방적으로 중단한 것은 참으로 아쉽다. 청년정책에 중앙과 지방이 어디 있고 여야가 어디 있나. 서로 머리를 맞대면 좋은 결과가 나온다”라며 “분명 청와대에 박 대통령을 뵙겠다, 불러주면 달려가겠다고 말하는데도 그런 기회가 없어 아쉽다”고 정부의 청년수당 직권취소를 비판했다.
그는 또 ‘청년수당은 포퓰리즘’이라는 일각의 지적에 “포퓰리즘이 아니고 리얼리즘”이라며 “청년 상황이 이렇게 절박한데, 이것을 제대로 대응하고 투자하려는 노력이 포퓰리즘으로 통한다면 저는 포퓰리스트가 되겠다”고 반박했다.
이어 “청년의 상황, 현장, 절망을 제대로 본다면 그런 의문은 제기하지 않을 것”이라며 “이러한 모든 정책이 현장에서 길러져야 한다는 이야기인데, 중앙정부의 정책은 현장과 유리돼있기 때문에 현장에 통할 수 없는 ‘책상 위 정책’이 될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