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스타2016] 모바일에 가려진 PC 신작 게임
[기자의눈]국산 PC온라인 신작 극소수…모바일 편중 심화
시장 경쟁력 약화 우려...포트폴리오 다양성 구축해야
지난 17일부터 20일까지 나흘간 역대 최대규모로 부산 벡스코에서 진행된 국제 게임전시회 ‘지스타 2016’은 유명 지적재산권(IP)을 활용한 모바일 신작들이 공개되고 가상현실(VR)기술 및 콘텐츠들을 체험할 수 있게 해 관람객들의 호응이 뜨거웠다.
성공적으로 개최된 이번 행사에서도 드리워진 그림자는 있었다. 바로 국산 PC온라인 신작의 부재가 유독 허전하게 다가왔다.
넥슨이 공개한 PC온라인 출시 예정작 7종, 웹젠이 선보인 신작 1종을 제외하면 국내 PC온라인 게임은 사실상 행사장에서 자취를 감췄다. 그나마도 넥슨이 선보인 ‘천애명월도’와 ‘니드포스피드 엣지’는 자체 개발작이 아닌 해외 퍼블리싱 작품이다.
국내 게임업계의 모바일 편향성 자체에 비난을 가할 수는 없다. 당초 게임업계는 지난 수년간 정부의 잇따른 규제, 부재된 지원, 포퓰리즘적 비난 여론 형성에도 꿋꿋이 버텨 지금의 모바일 게임 시장을 구축했다.
이제 모바일 게임은 업계의 단순한 생존수단을 넘어 수익의 절반 이상을 해외로부터 끌어오는 진정한 한류열풍이자 수출 역군이 됐을 만큼 성장했다.
그러나 모바일 위주의 게임 개발은 장기적으로 해외 PC·콘솔 게임 개발 업체와의 기술력 경쟁에서 뒤처지는 결과를 낳을 가능성이 높다.
스마트폰이라는 플랫폼이 게이밍 데스크톱 PC의 사양을 뛰어넘지 않는 이상, 게임에 적용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발전은 근본적으로 PC게임이 선도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아울러 방대한 스토리와 캐릭터, 시대를 앞선 작품성으로 IP경쟁력을 얻기 위해서는 콘텐츠를 최대한 많이 담고 이를 효과적으로 연출 할 수 있는 고용량·고성능의 PC가 기반이 돼야만 한다.
급변하는 IT 시장에서 게임의 흥망성쇠를 감히 예측할 수는 없다. 다만 가까운 시일 내 VR 시장 등이 활성화되면 고성능 컴퓨팅을 기반으로 한 PC게임의 시장 점유율은 언제라도 회복될 가능성이 높다.
국내 게임업체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보여주는 활약에는 아낌없는 박수를 보낸다. 다만 모바일에 편중된 수익구조가 아니라, 포트폴리오의 다양성을 구축하고 기술의 장기적인 발전을 꾀할 수 있는 운영 방향을 수립하기를 바란다.
조만간 국내 게입업체들이 자체 개발한 국산 PC 온라인 신작 경쟁 소식을 들을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