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먼저 온 미래, 탈북학생’ 통일시대 맞춤형 인재로


입력 2017.03.23 14:30 수정 2017.03.23 14:35        이선민 기자

‘2017년 탈북학생 교육지원 사업 계획’ 발표

교육부가 ‘2017년 탈북학생 교육지원 사업 계획’을 발표했다. (자료사진)ⓒ데일리안 김나윤 기자

‘2017년 탈북학생 교육지원 사업 계획’ 발표

교육부가 ‘2017년 탈북학생 교육지원 사업 계획’을 발표하고 탈북학생이 우리 사회에 통합된 일원으로 적응하고, 통일 시대의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2016년 4월을 기준으로 전국의 초·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탈북학생은 2517명이며, 재학생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실정이다. 이에 교육부는 이들이 안정적으로 학교에 적응하여 성장하고 자립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를 위해 교육부는 ‘2017년 탈북학생 교육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맞춤형 교육 강화 ▲진로·직업 교육 내실화 ▲교육지원 기반 공고화 등 중점 추진 과제를 설정했다.

중국 등 제3국 출생 학생이 전체 탈북 학생의 약 52%에 달하고, 한국어 구사 능력이 낮은 제3국 출생 학생이 꾸준히 증가하면서 교육부는 입국초기 교육기관인 삼죽초등학교에 중국어가 가능한 이중언어 강사를 추가배치하고 하나원 내 중·고등학생 교육시설인 하나둘학교에는 중국어 교사를 신규 파견하여 한국어 교육을 강화할 계획이다.

아울러 정서적으로 불안한 탈북학생에 대한 상담 지원을 위해 전환기 학교인 한겨레중·고에 전문심리상담사를 신규 배치하고 학습지도, 심리상담, 문화체험 등 탈북학생 개인의 교육적 수요를 반영한 담임·교과 교사 등의 1:1 멘토링을 지속적으로 실시할 예정이다.

졸업 후 취업 등을 통한 안정적인 사회 정착을 위해 한겨레고등학교의 기존의 직업교육프로그램에 3D 프린터, 용접, 자동차 정비 등 3개 분야를 추가 운영한다. 또 일반학교에 재학 중인 탈북학생은 시·도교육청별로 진로상담, 직업체험활동 등 맞춤형 진로·직업캠프를 실시한다.

또한 탈북학생 지도교원의 교육역량 제고를 위해 시·도교육청 및 전국 단위의 교원 연수를 실시하고 1:1 맞춤형 멘토링 담당 교원에 대해서는 시·도교육청으로 직접 찾아가는 연수를 신규 추진하여 내실있는 멘토링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특히 탈북학생이 초기 정착단계에서 경험하게 되는 일상생활의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도록 컴퓨터, 스마트폰 활용법과 공공기관 이용방법, 또래문화 기본예절 등을 내용으로 하는 ‘탈북학생용 초기 정착 매뉴얼’을 개발, 보급할 계획이다.

이번 사업은 지난해 12월 이준식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이 한겨레중·고등학교를 방문하고 실시한 간담회 건의사항 등 현장의 의견을 반영한 것으로 이 부총리는 “이러한 지원을 통해 탈북학생들이 각계각층에서 인재로 성장해 향후 통일시대에 남북한을 이어주는 가교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선민 기자 (yeatsmin@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선민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