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총리 "문재인 정부, 모든 정책 '일자리 중심' 개편"
정부, 일자리 추경 편성·일자리 상황판 설치·일자리 신문고 개통
"국회 비롯한 기업·노동계·언론계·학계 사회 각 분야 협력 절실"
정부, 일자리 추경 편성·일자리 상황판 설치·일자리 신문고 개통
"국회 비롯한 기업·노동계·언론계·학계 사회 각 분야 협력 절실"
이낙연 국무총리가 계속되는 청년실업 문제를 지적하며 정부의 일자리 정책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
이낙연 총리는 19일 신라호텔에서 열린 서울경제신문 일자리 희망포럼에서 문재인 정부는 '일자리 정부'임을 강조하며 이 같이 전했다.
이 총리는 현재 가장 절박한 과제로 '일자리' 문제를 지적하며 "우리 청년들 4명 가운데 1명은 일자리를 구하지 못해 자신의 꿈과 희망을 펼쳐볼 기회조차 잡지 못하고 있다"면서 "이러한 고용절벽이 소득절벽으로 이어지고, 소득절벽이 희망절벽으로 이어지지는 않을지 안타까운 심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청년이라 죄송하다'는 우리 젊은이들, 날마다 원서를 쓰는 자식을 지켜보며 가슴이 새까맣게 타들어가는 부모님들 이분들 모두가 우리 가족이며 이웃"이라며, 정부의 일자리 문제 해결 노력을 소개했다.
이 총리는 "문재인 대통령 취임 첫 날 제1호 업무지시가 '일자리 위원회' 설치에 관한 것이었다"며, 이에 따라 일자리 상황판을 대통령 집무실에 설치하고, 일자리 신문고도 개통해 국민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있다고 전했다.
그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1일 일자리 100일 계획을 통해 '성장-일자리-분배'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기 위한 첫 걸음을 내디뎠으며, 경제·사회시스템을 고용친화적으로 전환하고 재정, 세제를 비롯한 정책수단도 일자리 중심으로 개편한다는 설명이다.
특히 이 총리는 정부의 일자리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한 국회의 협조도 당부했다.
이 총리는 "정부가 11조 2000억 원의 일자리 추경을 국회에 제출했다"며 "일자리를 애타게 찾는 분들께 하루빨리 희망을 드려 하는 시점에 한시가 급한 상황"이라며 "국회의 협력을 간곡히 요청 드리고 기업과 노동계, 언론계와 학계를 비롯한 사회 각 분야의 협력도 절실하다"고 정부의 일자리 창출에 대한 각 분야의 협력을 당부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