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 만해?] 사기꾼 현빈…한 판 뒤집지 못한 영화 '꾼'
현빈· 유지태 주연 범죄오락물
나나·배성우·안세하 등 합류
현빈· 유지태 주연 영화 '꾼' 리뷰
나나·배성우·안세하 등 합류
'판을 뒤집을 진짜 꾼들이 온다!'
범죄 사기극 '꾼'의 홍보 문구다. 현빈, 유지태, 배성우, 박성웅, 나나, 안세하. 화려한 캐스팅이다. 카체이싱, 특수분장, 카지노 등 영화 속 장면들도 휘황찬란하다. 상다리가 부러질 듯한 밥상이지만 맛이 밋밋하다.
영화의 얼개는 간단하다. '희대의 사기꾼' 장두칠을 잡으려 '꾼'들이 모인다는 이야기다.
장두칠의 사기 행각에 자살자만 10명. 그러나 장두칠은 법망을 유유히 빠져 나가고 사라진다. 8년 후 장두칠의 사망 소식이 전해진다. 그러나 그가 아직 살아있다는 소문과 함께 그에게 뇌물을 받은 권력자들의 의도적으로 풀어준 것 아니냐는 추측이 나돈다.
한편 지성(현빈)은 8년 전 아버지를 잃었다. 잠깐 나갔다 온다던 아버지는 목을 매 숨져 있었던 것. 경찰은 타살이 아닌 자살이라고 수사를 종결한다.
이후 지성은 사기꾼만 골라 속이는 비상한 사기꾼이 됐다. 장두칠 사건 담당 검사 박희수(유지태)는 장두칠의 행적을 좇다 지성과 마주한다. 둘은 '장두칠을 잡자'는 같은 목표로 손을 잡는다.
박 검사의 비공식 수타 루트인 사기꾼 3인방 고석동(배성우), 춘자(나나), 김 과장(안세하)도 합류한다.
하지만 박 검사는 장두칠 검거가 아닌 또 다른 목적을 위해 은밀히 작전을 세우고, 이를 눈치챈 지성과 다른 꾼들도 서로 속지 않기 위해 각자만의 계획을 세운다.
영화 '꾼'은 피해 금액 4조원, 피해자 3만명에 이르게 한 희대의 사기꾼을 잡기 위해 사기꾼과 검사가 함께 벌이는 과정을 담았다. '왕의 남자' 조연출로 시작해 '라디오스타', '님은 먼곳에' 등에 참여한 장창원 감독의 데뷔작이다.
장 감독은 "악인을 제대로 응징하는 방법을 통쾌하게 그리고 싶었다"며 "답답한 현실을 통쾌하게 해줄 에너지가 가득한 영화"라고 밝혔다.
그간 나온 범죄 사기극과 다른 점을 묻자 "응징하려는 악의 대상"이라고 강조했다.
장 감독의 말마따나 '악의 대상'은 다르다. 하지만 '꾼'은 그간 봐온 범죄 사기극들과 별반 다르지 않다. 이런 류의 영화엔 속고 속이는 반전이 이어지는데, 여기서 조심해야 할 게 '반전 강박증'이다. '꾼'은 자잘한 반전이 연이어 나오면서 오히려 피로감이 들게 한다. 마지막 반전이 약하게 느껴지는 이유다. 차라리 관객의 뒤통수를 후려치는 강력한 한 방이 나았을 듯하다.
초반 연출도 매끄럽지 못해 지루하게 느껴진다. 영화는 배우들에게 많이 기댔다.
올 초 780만명을 모은 '공조'에 출연한 현빈은 이번 영화에서도 제 몫을 했다. '잘생긴 사기꾼'이라는 수식어가 잘 어울릴 만큼 매력을 마음껏 뽐낸다.
현빈은 "중심을 잘 잡고 싶었다"며 "흥행에 대한 부담보다는 설렘이 앞선다"고 말했다.
KBS2 '매드독'에도 출연 중인 유지태는 이번 영화에서 강렬한 존재감을 드러낸다. 비열한 연기도 매끈하게 표현했다. 유지태는 "배역이나 비중, 장르 상관없이 다양한 캐릭터에 도전하고 싶었다"고 전했다.
배성우, 안세하, 박성웅 등 조연들도 인상적이다. 걸그룹 애프터스쿨 출신 나나는 누구나 유혹할 만한 캐릭터를 준수하게 연기했다. '거침없는 비주얼 현혹꾼'이라는 캐릭터에 자연스럽게 녹아들어갔다. 캐릭터를 잘 선택한 셈이다.
나나는 "첫 스크린 데뷔라 정말 떨렸다"며 "선배님들 사이에서 튀어 보이지 않으려 연구를 많이 했다"고 전했다.
11월 22일 개봉. 116분. 15세 관람가.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