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 무기계약직 자살…"정규직과 차별" vs "근거 없는 억측"
서울교통공사 측 "현장서 유서 발견 안돼…노사협상 조속히 마무리 할 것"
서울교통공사 측 "현장서 유서 발견 안돼…노사협상 조속히 마무리 할 것"
서울교통공사 소속 무기계약직 직원이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으로 알려지면서 그 배경을 두고 정규직과의 차별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서울교통공사 내 업무직협의체와 노동자 공동행동 등은 최근 기자회견을 통해 군자차량기지에서 차량검수원으로 일하던 무긱계약직 김모(35) 씨가 스스로 숨진 사실을 전하며 정규직화 체계의 문제를 그 배경으로 지목했다.
협의체 등에 따르면 김 씨는 지난 16일 차량기지 인근 자취방에서 스스로 세상을 등졌다. 협의체는 김 씨의 극단적 선택을 두고 최근 서울시의 무기계약직 정규직화 정책의 문제점과 현장에서 겪는 차별 등을 지적했다. 김 씨의 측근 등이 경찰 조사에서 고인이 업무직에 대한 근거 없는 인격모독으로 힘들어했고, 정규직 전환이 물 건너갈까봐 걱정이 많았다고 진술했다는 주장이다.
협의체는 서울시를 향해 "정규직 전환이 좀 더 빨리 이뤄졌다면 고인의 죽음은 막을 수 있었다"며 "서울시와 공사는 고인이 바랐던 '차별 없는 정규직 전환'을 조속히 실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서울교통공사 측은 협의체의 이 같은 주장에 "아무 근거가 없다"며 반박하고 있다. 공사는 직원 사망에 대한 고인의 명복을 빈 뒤 "고인의 죽음이 정규직화 협상과 관련됐다는 주장은 억측에 불과할 뿐 사실이 아니다"라며 "규정에 따라 유가족의 장례를 지원했고, 현재 장례 절차가 진행 중"이라는 설명이다.
이와 관련 고인의 유서가 발견되지 않았고, 고인의 극단적 선택의 배경을 짐작할 만한 어떤 내용도 밝혀지지 않은 상태라는 것이다.
한편, 공사는 이번 직원의 죽음과는 별개로 이른 시일 내 노사 협상을 마무리한다는 방침이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