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정부부터 기업까지 너나없이 ‘빅데이터’…그 실상은


입력 2018.06.28 05:13 수정 2018.06.28 05:13        이선민 기자

일관된 추진체계 미비·전문 인력 부족 등 해결해야

최근 전 세계적으로 미래 신성장 동력으로 인식된 ‘빅데이터’는 국내에서 중요성이 상당히 강조돼 여러 기간에서 빅테이터를 활용한 정책 또는 사업을 펼치고 있다. (자료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일관된 추진체계 미비·전문 인력 부족 등 해결해야

최근 전 세계적으로 미래 신성장 동력으로 인식된 ‘빅데이터’는 국내에서 중요성이 상당히 강조돼 여러 기간에서 빅테이터를 활용한 정책 또는 사업을 펼치고 있다.

하지만 현장에서 느끼는 것은 어떨까, 2017년에 발표된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의 국가경쟁력 평가결과 중 디지털경쟁력순위에서 우리나라의 빅데이터 사용 및 활용능력 수준은 평가대상 63개 국가 중 56위에 불과했다.

특히 공공데이터 개방수준이 제한적이라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선진국에 비해 빅데이터 활용도가 낮은 것이 현실이다.

국회입법조사처가 지난 5월 발간한 입법정책보고서 ‘빅데이터 정책 추진 현황과 활용도 제고방안’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빅데이터 정책의 가장 큰 문제는 일관된 추진체계 미비다. 정책이 대부분 개별 부처별로 진행되고 있어 중장기적 차원에서 일관된 정책을 추진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빅데이터의 경우 그 특성에 따라 다양한 이해관계가 상충함에 따라 법·제도를 통한 문제 해결이 필요하기 때문에 장기적 관점에서 일관성 있는 정책 수행을 위해서 컨트롤타워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2013년 정부가 공공데이터 법을 제정하면서 빅데이터 수집·저장·분석을 위한 범정부 공통기반을 구축하고 운영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중앙행정기관과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기관 간 데이터의 공유 활성화가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아울러 대두되는 큰 문제는 전문 인력 부족이다. 한국 무역협회에 따르면 한국의 빅데이터 시장 규모는 2016년 3440억 원에서 2020년 9671억 원으로 연평균 29.5% 성장하는 등 급속하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 빅데이터 인력도 2015년에는 8437명, 2017년에는 9955명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기업들은 실무경험이 있는 경력자를 원하고 있기 때문에 단순히 대학이나 교육기관의 전문과정을 통하여 직무능력을 습득한 초급인력 공급으로는 한계가 있다.

해외에서는 비슷한 시기를 거치면서 빅데이터 관련 전문가 집단의 육성에 집중적인 투자를 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전문 인력 양성을 추진하고 있으나 정부가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형태가 대부분이다. 반면 해외에서는 직접적인 교육은 주로 대학·대학원에 담당하고 정부는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필요한 교육과정 개발, 공유 인프라 구축, 연구개발 지원, 협력 네트워크 조성 등에 정책을 집중해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빅데이터 관련 업종에 종사하고 있는 김모 씨는 ‘데일리안’과의 인터뷰에서 “TV를 틀면 다들 빅데이터가 나라를 살릴 것처럼 이야기하지만 현실과의 차이는 크다”며 “우리나라에서 제대로 빅데이터 인력을 양성한지 이제 10년쯤 된 것 같은데 회사에서는 전문가만 찾으니 젊은이들은 경험을 쌓을 곳이 없고 회사는 사람이 없다는 소리만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빅데이터라함은 정말로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하는 일이다. 그러려면 일단 데이터가 대용량이어야 한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정책기관과 연계해서 일을 하려고하면 처리할 데이터가 없다”며 “온통 막혀있거나 다른 기관 승인이 필요하거나 하다. 기관 간 연계, 공공데이터 접근 수준의 완화 등 정부에서 길을 뚫어주지 않으면 제자리걸음 일 것”이라고 일침했다.

이선민 기자 (yeatsmin@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선민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