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금감원 "'IFRS' 투자상품 비중 높은 보험-증권사 손익변동성 확대될 것"


입력 2018.06.28 12:00 수정 2018.06.28 10:02        배근미 기자

은행·카드·금융지주사, 대손충당금 큰 폭 증가…금감원 "건전성 영향 크지 않아"

증권·보험사, 가치변동 반영되는 당기손익금융자산 증가에 손익변동성 확대 예상

금융권역별 당기손익금융자산(FVPL) 비중 및 변동(2017년 말 기준) ⓒ금융감독원

올해 금융상품 관련 신국제회계기준(K-IFRS 제1109호)이 시행되면서 투자 금융상품 비중이 높은 증권사와 보험사의 당기손익금융자산 비중이 증가해 손익변동성이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8일 금융감독원이 45개 금융회사의 2017년 말 연결재무제표를 토대로 분석한 'IFRS 금융상품 신기준서의 금융회사 영향 및 시사점'에 따르면 대출채권 비중이 높은 은행, 카드사 및 금융지주사는 기존보다 대손충당금이 크게 증가해 회계상 자본은 감소했으나 대손준비금 제도 등으로 건전성에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반면 투자 금융상품 비중이 높은 증권사와 보험사의 경우 가치변동이 당기손익에 반영되는 ‘당기손익금융자산’ 비중이 증가하면서 손익변동성 확대가 예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우선 은행과 카드사의 경우 대출채권 등의 비중이 총 금융자산의 각각 87.0%와 96.6%를 차지함에 따라 대손충당금이 각각 12,712억원(14.7%), 9,803억원(33.8%)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업권 별로는 신한은행(3838억원, 22.9%)과 KB국민카드(2300억원, 42%)가 각각 업권 내 가장 높은 대손충담금 상승폭을 보였다.

은행을 주력 자회사로 둔 금융지주 역시 대출채권 등의 비중이 77.6%로 높아 대손충당금이 16,504억원(18.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출채권 등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증권사와 보험사는 대손충당금 증가폭이 크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같은 업권 별 증가세와 관련해 감독당국은 미래전망정보 반영 및 신용손실 예상기간 확대 등으로 적용 부도확률이 증가하면서 충당금이 늘어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또 일부 금융회사의 경우 담보평가 등 개별적으로 현금흐름을 추정해 보수적으로 평가하는 개별평가 대상을 확대한 점 역시 충당금 증가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했다.

한편 금융자산 분류기준이 변경되면서 보험사의 당기손익금융자산 비중은 기존 3.6%에서 19%p 늘어난 22.6%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증권사가 3.1%p의 증가세를 나타냈고 은행과 카드사 미미한 증가율을 기록하며 그 뒤를 이었다. 당국은 이와 관련해 기존 매도가능증권으로 분류됐던 채권형 집합투자증권, 복합금융상품 등이 원금과 이자로만 구성되는 현금흐름요건을 충족하지 못해 당기손익자산으로 분류됐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감독당국은 대출채권 등에 대한 신용손실이 보다 적시성있게 반영되고 금융자산의 공정가치 평가가 확대돼 투자의사결정 등에 보다 적합한 정보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 기대신용손실을 측정하는 다양한 기법이 인정돼 개별회사의 특징을 반영할 수 있고 당기손익금융자산 증가에 따른 투자성과가 즉시 손익에 반영되는 만큼 자산운용 전략 수립 시에는 손익변동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해 보다 정교한 위험관리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회계정보가 최근의 시장 상황을 즉시 반영할 수 있어 더 유용해졌으나, 추정의 개입 여지가 많아진 만큼 이에 대한 감독을 강화할 예정"이라며 "추정과 판단사항이 관련되는 대손충당금 적립, 금융자산의 평가 등의 적정성에 대한 감독을 강화하고 감사인이 핵심감사사항으로 선정해 높은 수준의 감사가 이루어 지도록 지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배근미 기자 (athena3507@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배근미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