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바이오, R&D 비용 회계 논란에도 투자액↑…투명성 개선
금융당국 감독지침 준수…개발비 자산화 감소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회계투명성 신뢰 확보 노력
금융당국 감독지침 준수…개발비 자산화 감소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회계투명성 신뢰 확보 노력
지난해 제약·바이오업계 회계 이슈 논란 이후 연구개발비(R&D)를 자산으로 처리하는 비율이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개발비를 자산으로 처리하던 관행이 점차 사라지면서 회계 투명성도 높아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제약바이오 업종 185개 상장사의 개발비 자산화 비율은 전년 보다 3.2%포인트 줄어든 평균 16.4%로 조사됐다. 2014년 22.9%에서 2015년 23.8%, 2016년 24.3%로 증가세를 보이다가 2017년 19.6%로 줄었고 지난해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연구개발비 자산화 비율이 평균치보다 높았던 상장사는 29곳(15.7%)으로 전년 보다 18곳 줄었다. 이 비율이 0%인 상장사는 130곳으로, 80%를 초과한 상장사는 4곳뿐이었다.
연구개발비 잔액은 1조3205억원으로, 2342억원 감소했다. 잔액이 100억원을 초과한 회사는 9곳으로 12곳 더 줄었다. 총자산 대비 연구개발비 잔액 비중은 7.4%로 0.7%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금융당국 테마감리에 개발비 자산화↓
이들 기업의 개발비 자산화가 줄어든 이유는 지난해 진행한 테마감리의 여파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테마감리 중점 사항으로 제약·바이오업종의 개발비 회계처리를 꼽았다.
금감원은 지난해 초 국내 최대 바이오 기업인 셀트리온에 대해 연구개발비 회계 처리의 적정성에 대한 감리를 벌였다.
논란의 핵심은 연구개발비를 무형자산 내 '개발비'로 보느냐, 판매비와 관리비 내 '경상연구개발비'로 보느냐였다. 판관비는 매출원가와 함께 매출액에서 빠지는 돈이고, 그 결과치가 영업이익이다.
연구개발비를 무형자산으로 분류하면 부채비율을 낮추는 효과도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영업이익 감소요인을 제거할 수 있다.
이에 금융당국은 지난해 9월 신약은 임상3상, 바이오시밀러(바이오복제약)는 임상1상부터 R&D 비용의 자산화가 가능하다는 내용의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당시 일각에서는 제약바이오 기업이 연구개발비를 비용으로 처리하게 되면 기업의 연구개발이 위축될 것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하지만 이번 금감원 보고서에 따르면 연구개발비는 2016년 1조5000억원에서 2017년 1조8000억원, 지난해 1조9443억원으로 늘어나는 등 증가세를 이어갔다.
금감원 측은 "시장 우려와 달리 테마감리가 기업들의 R&D 투자를 저해하지 않았다"면서 "올해에도 비시장성 자산평가 적정성, 무형자산 인식 등에 대한 회계감리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