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1개 기관 동원 “2~3월 270만 송이 구매하겠다”
범국민 꽃 소비촉진 유도 “지금은 응급상황으로 봐달라”
정부가 화훼농가 지원을 위해 전국 편의점 등을 통해 꽃다발과 공기정화식물 등을 판매하는 방안을 지원책으로 제시했지만 ‘탁상행정’, ‘반쪽짜리 행정’이라는 뭇매를 맞고 있다.
졸업·입학식 등 연중 최고의 꽃 소비 시즌을 맞았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COVID-19) 영향으로 행사자체가 취소되는 사례가 많아 꽃 소비가 줄고 화훼농가가 어려움에 봉착하자 농림축산식품부는 유통경로를 다양화해 소비를 늘리기 위한 차원의 판매처 다각화라면서 편의점, 온라인 등으로 유통채널을 늘리겠다는 대책을 내놨다.
하지만 꽃 소매점과 동네꽃집 주인들은 가뜩이나 소비가 줄어 어려운데 유통경로까지 넓히면 더욱 힘들어진다며 반발하고 있다. 이들은 “꽃집이 없어서 꽃 소비가 줄어든 것이 아닌데, 정부가 대기업군인 편의점을 유통경로로 끌어들인 셈”이라며 전형적인 탁상행정이라고 비판을 가했다.
그러자 농식품부는 예정에 없던 추가대책을 마련했다며 13일 공표했다.
이번에는 2~3월 기간 중 농식품부를 비롯한 소속·산하기관과 농협 등 21개 기관이 우선적으로 ‘사무실 꽃 생활화(1Table 1Flower)’, 화훼장식 등을 통해 270만 송이를 집중 구매하겠다는 대안을 내놨다.
화원과의 상생과 꽃 장식 및 사후관리를 위해 인근 꽃집 등과 연계, 계약을 맺어 꽃 구매를 집중 추진할 계획이라는 것이다.
270만 송이 구매 계획은 농협중앙회 1800개 기관, 농관원 등 5개 소속기관, 농어촌공사 등 12개 공공기관, 농촌진흥청, 산림청, 산림조합 등의 수요를 모아 산정한 것으로 비용도 각 기관이 지불하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또한 농협은행 등 상품을 가입하는 범 농협 고객을 대상으로 꽃다발 선물행사를 실시하고, 꽃 소비가 많은 호텔업계와 화훼류 소비 확대방안을 중점 협의하는 한편, 앞으로도 정부부처·지자체·공공기관 등이 사무실 꽃 생활화를 할 수 있도록 적극 협의할 계획이다.
정부는 공공부문부터 화훼 소비를 확산하고 범국민 꽃 소비촉진이 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정부의 꽃 소비 지원책은 처음이 아니다. 2016년 9월 실시된 일명 ‘김영란법’으로 불리는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 영향으로 된 서리를 맞은 화훼업계의 소비 진작을 위해 그간 다양한 방안을 시도해왔다.
정부의 이 같은 꽃 사주기는 아직까지 쓰임새가 명확하지 않다. 각 기관별로 알아서 소비하는 행태이며, 소요되는 예산 또한 상황에 따라, 꽃 각각의 도매가격에 달라질 수 있어 현재로서는 파악하기도 힘든 부분이다.
아울러 정부는 온라인을 통한 소비가 급증하고 있는 만큼 13일부터 생산자단체와 연계한 온라인몰 판촉전을 중점 개시하고, 대형 온라인몰과 홈쇼핑을 통한 화훼 판매도 추진한다.
인터넷검색사이트 광고창과 실시간 이동쪽지창앱(모바일메신저앱)의 선물교환권(기프트콘)을 통한 소비 활성화에 기대를 걸고 있다.
이미 밝혔던 편의점을 활용한 한송이꽃다발은 월 1만1000개, 소형 공기정화식물 2만개 수준을 판매한다는 계획이다.
꽃을 구매할 수 있는 곳이 보다 다양화될 필요가 있다는 소비자 의견에 따라 진행하되, 편의점 판매는 화원과의 상생을 위해 본사직영, 즉 대기업이 아닌 가맹점인 소상공인을 중심으로 하고, 화원과 경합되지 않는 지역을 위주로 추진한다고 보완책을 제시했다.
결국 소비자 접점을 늘리기 위해 편의점 판매는 진행하되 동네꽃집이나 소매점 가까이 있는 편의점에는 공급을 안 하겠다는 게 정부의 생각인데, 편의점식 유통망이 이 같이 움직여 줄지는 미지수다.
이와 관련해 농식품부 관계자는 “편의점 판매 지속여부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COVID-19)의 여파와 꽃 소비상황, 도매가격 등의 시장상황을 봐가며 결정할 문제”라면서 “지금 소비촉진 대책은 특수상황에서의 응급조치의 일환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향후 실질적인 화훼 수요가 확대될 수 있도록 계속 노력을 기울이는 한편, 현장의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애로사항을 청취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