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당 최대 30억원…연구개발에서 사업화까지 지원
환경부(장관 조명래)와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는 미래 기후변화와 환경 위기에 전략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그린뉴딜 유망기업’을 선정하기 위한 공고를 20일부터 진행한다.
접수는 각 부처 산하기관인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연구관리시스템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종합관리시스템에서 다음달 10일까지 받는다. 이후 평가를 거쳐 9월 중에 40개사를 최종 선정한다.
양 부처는 올해 그린뉴딜 유망기업 40개사를 시작으로 2022년까지 총 100개사를 선정·육성할 계획이다. 올해 제3차 추경으로 양 부처는 총 407억원 예산을 반영했다. 선정된 기업에 향후 3년간 기술개발과 사업화 자금으로 최대 30억원을 지원한다.
이번 그린뉴딜 유망기업 선정은 그린뉴딜 3대 분야(도시·공간·생활 인프라 녹색 전환, 저탄소·분산형 에너지 확산, 녹색산업 혁신 생태계 구축) 중 하나인 ‘녹색산업 혁신 생태계 구축’을 위해 추진되는 과제다.
*
환경부는 사업화 지원 중심 ‘녹색혁신기업 성장지원 프로그램’으로 청정대기 등 녹색산업 5대 선도 분야 중소기업을 집중 육성할 방침이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연구개발(R&D) 지원 중심 ‘그린벤처 프로그램’으로 녹색기술분야 혁신형 중소기업에 집중한다.
미국 환경컨설팅·연구기관인 이비아이(EBI, Environmental Business International)에 따르면 세계 녹색산업 시장은 약 1조2000억 달러 규모로 반도체 시장의 약 3배다.
녹색산업은 전 세계적인 실물 경기 침체에도 매년 4% 내외로 성장 중이다. 미국 에이컴, 프랑스 베올리아, 독일 지멘스 등은 녹색 분야에서 수조 원의 수익을 올리고 있다. 이번 그린뉴딜 유망기업 선정은 우리나라에도 이러한 녹색산업을 이끌 선도 기업이 나올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기획됐다.
한편 양 부처는 그린뉴딜 유망기업 선정 등 그린뉴딜 정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고, 그린 중소·벤처기업의 혁신성장을 공동 지원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지난달 26일 체결한 바 있다.
김동구 환경부 환경경제정책관은 “녹색 유망 중소기업이 녹색산업 전체를 견인하는 그린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부터 사업화까지 전 주기에 걸쳐 각종 지원 정책을 펼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