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까지 '대북통' 전진 배치…남북관계 복원 재시동 해석
전문가 "말보다 행동…인도적 지원·한미관계 강화 선제적"
'부동산 후폭풍' 수습 이후 문재인 대통령의 다음 스텝은 남북관계 복원으로 전망된다. '대북통' 전진 배치를 완료한 것은 임기 내에 남북관계 경색국면을 풀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문 대통령이 지난 5일 임명한 국가정보원 인사 면면에서 이를 엿볼 수 있다. 문 대통령은 이날 국정원 2차장에 박정현 국정원장 비서실장, 3차장에 김선희 국정원 정보교육원장, 국정원 기획조정실장에 박선원 국정원장 외교안보특별보좌관을 기용했다. 이와 함께 문 대통령은 김상균 2차장을 1차장으로 이동시켜 대북 업무와 해외 업무를 관장하도록 했다.
김 1차장과 박 실장은 국정원 내 대표적인 '대북통'으로 꼽힌다. 김 1차장은 서훈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의 국정원장 시절 최측근으로, 현 정부의 대북 문제와 관련해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해왔다. 참여정부에서 청와대 통일외교안보전략비서관을 역임한 박 실장은 참여정부 당시 남북정상회담을 추진하는 데 주요한 역할을 했다. 문재인 대선 후보 캠프에서도 외교안보자문그룹에 속했다.
이는 이인영 통일부 장관, 박지원 국정원장, 서훈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임종석 대통령 외교안보특별보좌관 등 새 대북라인에 힘을 싣는 것으로, 문 대통령이 남북관계 복원에 재시동을 건 것으로 해석된다. 앞서 문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이 장관과 박 원장에 "막혀있고 멈춰있는 남북관계를 움직여 나갈 소명이 두 분에게 있다"고 강조한 바 있다.
그러나 문 대통령의 의지와는 달리 남북관계 복원까지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인도주의적 지원을 통한 대화 기회 마련, 한미관계 강화 등이 선행돼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우선 문 대통령은 부동산 민심 수습 이후 인도적 지원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인도적 지원은 남북 간 제재에 해당되지 않는다. 박 원장이 지난달 27일 인사청문회에서 이를 언급하기도 했다.
신범철 한국국가전략연구원 외교안보센터장은 통화에서 "국내 정치적 상황과는 무관하게 인도적 지원이 우선 추진돼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신 센터장은 이를 위해서는 정부가 '말 보단 행동' 기조를 가져야한다고 강조했다. 신 센터장은 "북한은 현재 우리 정부와의 협력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것 같다"며 "정부가 너무 서두르거나 저자세로 갈 필요는 없지만 정부가 선전에 방점을 두다 보니 북한이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는 경우가 있다. 말을 앞세우기 보다 실질적인 협력 분야를 찾아야 한다"고 했다.
특히 남북관계에 중대한 영향을 끼치는 북미 간 비핵화 협상이 미국의 11월 대선 결과에 크게 좌우되는 만큼, 한미관계 강화가 필수적이다. 신 센터장은 "남북 협력 사업 등이 제재에 구애받지 않기 위해선 미국과의 관계가 중요하다"며 "적정수준에서 방위비분담금 타협이 이뤄져야 한다. 한미 공조만 잘 되면 남북관계 신뢰 회복의 길이 충분히 열릴 수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