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보적인 드라이빙 퍼포먼스…GLB 새로 합류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는 SUV 신차 3종 더 뉴 메르세데스-벤츠 GLB·GLA·GLE 쿠페를 벤츠 코리아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공개했다고 27일 밝혔다.
기존 라인업에 없던 새로운 더 뉴 GLB 및 2세대 완전 변경 모델, 더 뉴 GLA와 더 뉴 GLE 쿠페 출시로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는 9종의 SUV 라인업을 갖추게 됐다.
실용적이고 다재다능한 패밀리 SUV, ‘더 뉴 메르세데스-벤츠 GLB’
더 뉴 GLB의 가장 큰 장점은 넓은 공간 활용성이다. 휠베이스는 2830mm에 달하고 앞 좌석의 헤드룸은 1035mm로 넉넉한 공간을 선사한다.
2열 좌석은 967mm의 레그룸(5인승 기준)을 확보해 뒷좌석에도 편안한 탑승 환경을 제공하며, 뒷좌석 등받이를 모두 접을 시 1805ℓ에 이르는 적재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더 뉴 GLB는 메르세데스-벤츠의 새로운 M260 엔진이 탑재된 더 뉴 GLB 220과 더 뉴 GLB 250 4MATIC 모델로 한국 시장에 첫 선을 보인다.
직렬 4기통 2.0 리터 가솔린 터보차저 엔진이 8단 DCT 변속기와 결합해 강력하고, 효율적인 성능을 자랑할 뿐만 아니라 컴포트 서스펜션(comfort suspension)을 기본으로 탑재해 편안한 승차감과 스포티한 드라이빙의 절묘한 조화를 갖추었다.
특히 더 뉴 GLB 250 4MATIC 에는 완전 가변형 토크 배분을 지원하는 오프로드 엔지니어링 패키지(Off-Road Engineering Package)가 기본 사양으로 탑재돼 뛰어난 오프로드 주행성능을 제공한다.
오프로드 주행 모드는 다이내믹 셀렉트 스위치를 통해 활성화할 수 있으며, 오프로드에서도 엔진의 동력 전달 및 ABS 제어를 도와준다. 또 경사도, 기울기 등 주행 상황을 비롯해 서스펜션의 상태까지 미디어 디스플레이에 표시해 줌으로써 운전자가 주행 환경과 차량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돕는다.
다운힐 속력 조절(Downhill Speed Regulation, DSR) 시스템을 활성화하면 언덕길 주행 시 2km/h부터 18km/h 범위 내에서 운전자가 설정한 속력으로 차량 속도가 자동 조절된다. 해당 설정은 계기반과 선택 사양인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며, 가파른 다운힐 주행 시에도 운전자가 차량에 대한 제어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파워풀한 비율과 차체에 적용된 보호 클래딩(protective claddings), 전후면 범퍼 하단에 위치한 언더 가드는 오프로더를 지향하는 DNA가 내재돼 있음을 보여준다.
면을 통해 입체감을 주는 외관을 강조했으며, 선을 최소화하고 면과 면이 맞닿는 부분을 더욱 섬세하게 처리해 C필러는 탄탄한 근육질의 숄더 라인이 부각되도록 디자인했다. 더 뉴 GLB는 선을 줄이고 면을 강조한 깔끔한 디자인을 통해 메르세데스-벤츠의 ‘감각적 순수미(Sensual Purity)’라는 디자인 철학을 구현하고 있다.
더 뉴 GLB 220과 더 뉴 GLB 250 4MATIC 에는 다양한 주행 보조 및 편의 기능들을 탑재해 뛰어난 안정성과 편의성을 갖췄다. 자동 속도 조절, 제동 및 출발을 지원하는 액티브 디스턴스 어시스트 디스트로닉(Active Distance Assist DISTRONIC), 차량 또는 보행자와의 충돌을 감지할 경우 시각적, 청각적 경고 및 반자율제동을 지원하는 액티브 브레이크 어시스트(Active Brake Assist), 액티브 차선 이탈 방지 패키지(Active Lane Keeping Assist), 사각지대 어시스트(Blind Spot Assist) 등이 기본 사양으로 탑재 됐다.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는 추후 디젤 엔진, 고성능 AMG 를 비롯해 7인승 모델까지 출시하며, 더 뉴 GLB 모델의 라인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다이내믹 스포츠 SUV, ‘더 뉴 메르세데스-벤츠 GLA’
더 뉴GLA는 2013년 메르세데스-벤츠의 첫 번째 콤팩트 SUV 모델로 SUV 패밀리에 합류했다.
완전 변경된 2세대 신형 더 뉴 GLA는 2019년 12월 11일 디지털 플랫폼 메르세데스 미 미디어(Mercedes me media)를 통해 세계 최초로 공개됐다. 더 뉴 GLA는 이전 모델 대비 넓어진 실내 공간, 스포티한 디자인, 강력한 파워트레인과 최신 편의 및 안전 사양을 탑재해 더욱 매력적인 모습으로 변모했다.
더 뉴 GLA는 이전 모델 대비 30mm 길어진 휠베이스, 110mm 높아진 전고로 더 높은 좌석 포지션과 여유로운 헤드룸, 넉넉한 실내 공간을 제공한다.
인테리어는 10.25인치 디지털 계기반과 MBUX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으로 이뤄진 와이드 스크린 콕핏과 터빈을 연상시키는 5개의 원형 송풍구를 통해 더욱 모던하고 진보적인 디자인으로 마무리됐다. 나파 가죽이 적용된 다기능 스포츠 스티어링 휠과 아티코 인조 가죽 및 다이나미카 재질로 장식된 인테리어가 기본 사양으로 제공된다.
외관은 줄어든 전방 및 후방 오버행과 강력한 숄더라인, 쿠페를 연상시키는 측면 유리창 라인으로 역동성을 강조했다. 후미등은 범퍼와 분리된 곳에 위치한 반사판과 더불어 트렁크와 후면부 전체의 너비가 더욱 넓어 보이는 인상을 준다.
국내에 먼저 선보이는 더 뉴 GLA 250 4MATIC에는 더 뉴 GLB과 동일한 M260 엔진을 탑재했으며, 다운힐 속도 조절 시스템이 포함된 오프로드 엔지니어링 패키지가 탑재돼 ‘에코(Eco)’, ‘컴포트(Comfort)’, ‘스포츠(Sport)’ ‘오프로드(Off-Road)’ 등 4개의 다양한 주행 모드로 어떤 조건의 지형에서도 안정감 있는 주행을 지원한다.
주행 성능과 더불어, AMG 라인이 적용된 외관은 AMG 다이아몬드 라디에이터 그릴과 19인치 AMG 5-스포크 경량 알로이 휠로 더 뉴 GLA 250 4MATIC을 더욱 스포티한 모델로 완성시켰다.
더 뉴 GLA 250 4MATIC에는 다양한 안전 및 편의 사양을 기본으로 탑재했다. 액티브 디스턴스 어시스트 디스트로닉(Active Distance Assist DISTRONIC), 액티브 브레이크 어시스트(Active Brake Assist), 액티브 차선 이탈 방지 패키지(Active Lane Keeping Assist), 사각지대 어시스트(Blind Spot Assist) 등의 주행 보조 기능으로 안전한 주행을 돕는 동시에, 키레스 고(KEYLESS-GO) 패키지, 파노라믹 선루프, 무선 충전 기능 등으로 편의성을 높였다.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는 추후 GLA 220 및 고성능 AMG 모델 등을 출시하며, 더 뉴 GLA 모델의 라인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메르세데스-벤츠의 퍼포먼스 쿠페 SUV, ‘더 뉴 GLE 쿠페’
완전 변경된 2세대 더 뉴 GLE 쿠페는 오프로드 차량의 역동성과 쿠페 감성을 자극하는 스포티함과 우아함이 조화를 이룬다.
다이아몬드 라디에이터 그릴과 싱글 루브르가 적용된 더 뉴 GLE 쿠페의 전면 디자인은 메르세데스-벤츠 쿠페 라인업과 유사한 모습인 반면, 유광 크롬이 적용된 언더가드를 장착한 전면 에이프런은 SUV의 특성을 강조한다. 평평해진 전면 유리의 경사는 역동적인 인상을 준다.
C필러 하단에 돌출된 근육질 표면은 더 뉴 GLE 쿠페 특유의 강력한 외관을 완성함으로써 도로위에서의 존재감을 더욱 부각시킨다.
실내에는12.3 인치 대형 스크린 2개를 갖춘 와이드스크린 콕핏과 도어 트림으로 부드럽게 이어지는 계기반이 자리잡고 있다.
여기에 측면 지지가 확고한 스포츠 시트와 나파 가죽으로 마감된 새로운 스포츠 스티어링 휠로 스포티한 감성을 한층 더 강조한다. 이전 모델보다 20mm 길어진 휠 베이스를 기반으로 탑승자에게 더 여유 있는 레그룸을 제공하며 훨씬 더 편안한 실내 공간을 조성한다.
벤츠는 6기통 직렬 터보 디젤 엔진과 9단 자동 변속기가 결합한 ‘더 뉴 GLE 400 d 4MATIC 쿠페’를 오는 10월 먼저 출시한 뒤 고성능 모델인 ‘더 뉴 메르세데스-AMG GLE 53 4MATIC+ 쿠페’, ‘더 뉴 메르세데스-AMG GLE 63 S 4MATIC+ 쿠페’를 비롯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까지 라인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이날 공개된 더 뉴 GLB 220과 더 뉴 GLB 250 4MATIC, 더 뉴 GLA 250 4MATIC은 오는 9월 출시되며 가격은 부가세를 포함해 각 5420만원, 6110만원, 5910만원이다.
10월 출시되는 더 뉴 GLE 400 d 4MATIC 쿠페는 1억1930만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