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살머리고지 현장기념관 조성
경원선 남측구간 복원사업 등에
총 32억 8000여만원 지원하기로
이인영 "북한, 통 큰 결단하길"
정부가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 두 달여 만에 대북 독자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통일부는 16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제317차 남북교류협력추진협의위(교추협)를 개최해 △화살머리고지 현장기념관 조성 △경원선 남측구간 복원사업 등에 남북협력기금 총 32억8000여만 원을 지원키로 했다.
미국 정권 교체로 한반도 정세에 대한 불확실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는 상황에서 정부가 이달 초 판문점 견학 재개를 시작으로 대북 독자사업을 잇따라 추진하는 모양새다.
이인영 통일부 장관은 이날 교추협 회의 모두발언에서 "얼마 전 치러진 미국 대통령 선거로 한반도는 큰 정세 변곡점에 진입했다"며 "정부는 이 전환의 시기를 남북관계를 획기적으로 진척시킬 수 있는 기회의 공간으로 열어내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장관은 "우리 정부는 약속한 것은 반드시 지킨다는 의지와 그 진정성을 분명히 한다"면서 "북한도 통 큰 결단으로 대전환의 시간을 남북의 시간으로 만들 대화와 협력의 길로 나올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 장관은 독자 대북사업과 관련해 "우리가 먼저 남북 합의이행이라는 또 하나의 발걸음을 묵묵히 뚜벅뚜벅 걸어가는 것"이라며 "지난날 남북이 이룩한 합의 정신을 높이기 위해 또 한 발, 작은 발걸음을 나아가려 한다"고 말했다.
이날 교추협 심의·의결을 통과한 화살머리 현장기념관 조성 사업(19억5000만 원)은 지난 2018년 9·19 군사합의에 포함된 '화살머리고지 일대 남북 공동 유해발굴'의 의미를 계승하고, 문재인 정부가 구상하고 있는 DMZ(비무장지대) 국제평화지대화를 진전시키기 위한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된다.
이번 사업을 통해 노후화된 화살머리고지 GP(감시초소)가 일반 국민들이 안전하게 관람할 수 있는 현장기념관으로 리모델링된다. 현장기념관에는 일대에서 희생된 국군 전사자들을 기리는 추모관과 발굴된 유품들을 전시하는 공간 등이 마련된다.
이날 함께 의결된 경원선 남측구간 복원사업(13억3184만5000원)은 경원선 남북철도 연결에 대비하는 차원에서 추진된다. 이번에 투입되는 금액은 사업 현장을 유지하기 위한 제반 경비를 중간 정산하는 성격을 띠고 있기도 하다.
경원선 남측 구간 복원사업은 지난 2016년 5월 남북관계 교착 국면 여파로 공사가 중단된 바 있다.
통일부는 향후 △남북 간 협의 △접경지역 개발 △환경·문화재 보호 등 여러 가지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사업 재개시기를 검토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