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변품아’·‘영끌 원조’ 변창흠 아파트 논란 ‘시끌시끌’


입력 2020.12.10 15:18 수정 2020.12.10 15:20        원나래 기자 (wiing1@dailian.co.kr)

방배동 아파트가 6억대?…카드대출 ‘영끌’도 논란

“영끌 매수 몸소 실천, 내로남불의 끝판왕” 비난 봇물

변창흠 국토부 장관 후보자가 7일 경기 과천시 정부과천청사 내 서울지방국토관리청으로 출근하며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있다. ⓒ국토교통부

신임 국토교통부 장관 자리에 변창흠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이 내정되자, 시장에선 기대보다 우려를 쏟아내고 있다. 변 후보자의 과거 발언과 정책 등을 종합해 봤을 때 김현미 국토부 장관 시절 정책 실패를 답습하며 부동산 시장을 더욱 큰 혼란에 빠트릴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최근에는 변 후보자가 소유한 방배동 아파트가 논란의 대상으로 지목되고 있다. 공시가격이 주변 집값에 비해 너무 낮다는 지적과 함께, 매매가의 절반 이상을 대출을 통해 구입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벌써부터 혹평이 쏟아진다.


10일 정부 안팎에 따르면 변 후보자는 본인 명의 서울 서초구 방배동 아파트(129.71㎡·39평) 1채를 보유 중이라고 신고했으며, 지난 3월 공직자 재산 신고 당시 이 아파트의 신고가격은 5억9000만원이었다. 3월 공직자 재산 신고는 지난해 공시가격을 기준으로 산정한다.


변 후보자는 이 아파트를 지난 2006년 5억2300만원에 매입했다.


이에 변 후보자의 아파트 신고가격이 공개되면서 공시가가 너무 낮다는 지적이 나왔다. 낮은 공시가로 세금부담이 없어 ‘변품아’(변창흠이 품은 아파트)라는 풍자섞인 신조어도 나왔다.


이후 올해 공시가를 적용한 신고가액이 6억5000만원 선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공시가와 실거래가 차이에 대한 논란은 여전하다.


게다가 변 후보자가 2006년 매수 당시 매매가의 절반이 넘는 금액을 카드사 대출로 마련한 것으로 전해지면서 ‘영끌’(영혼까지 끌어 모은 매수) 논란도 더해졌다.


변 후보자는 해당 아파트를 구매하면서 매매가의 57%에 달하는 3억원 가량을 카드사로부터 대출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국회 국토위 소속 송언석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변 후보자가 아파트를 구입한 후, 곧바로 한 카드사가 채권최고액 3억6000만원의 근저당을 설정했다”며 “통상 대출액의 120%를 채권최고액으로 잡는 점을 감안하면, 변 후보자는 3억원 가량을 빌린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집값의 60%가량을 대출로 조달해 ‘내 집 마련’에 성공했다는 지적이다. 당시 6억원 이하 아파트의 LTV(주택담보대출비율) 비율은 은행과 보험의 경우 40%였고, 저축은행은 60%, 카드사와 캐피탈사는 70%로 제한된 상황이었다. 이는 더 많은 대출을 받기 위해 은행이 아닌 여신금융사를 선택한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서울 서초구(방배동)의 아파트매매가격지수는 2006년 1월 74.3에서 12월 92.4로 24.3%나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송 의원은 “카드사 금리를 감수하더라도 집값 상승의 이익이 더 클 것이라 기대한 것으로 보인다”며 “영끌 매수를 몸소 실천했던 분이 과연 부동산 시장 안정화를 책임지는 국토부 장관 후보자로서 적절한가에 대해 국민들은 의문을 제기할 수밖에 없다. 인사청문회를 통해 주택정책을 관장하는 장관으로서 자격이 있는지 철저히 검증하겠다”고 말했다.


여론 역시 ‘내로남불(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의 끝판왕’이라며 “자신은 ‘영끌’해서 방배동 아파트를 사고, 남들은 공공임대 살라는 거냐”는 등의 비난이 이어졌다.


관련 기사 댓글에는 “본인도 카드사 대출까지 받으며 영끌해 그리 집을 갖고 싶었던 사람이, 국민이 내 집 갖고 싶은 희망을 공공임대 아파트로 내모는 장본인이라니”, “일반적인 보통 사람이라면 저렇게 집값 반 이상을 카드대출 받아서 집 못 산다. 이자도 높아 도박 같은 상황과 다름없다” 등의 글이 올라왔다.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변 후보자 역시 부동산 시장에 강경했던 정부 기조를 그대로 이어갈 것”이라며 “현재 규제가 워낙 꼬여있기 때문에 손대기 어렵고, 주택 공급을 빨리 늘리는 등의 공급 속도전으로 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원나래 기자 (wiing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1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