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얼미터 조사 처음으로 文 부정평가 60% 상회
잠재적 여권 지지층이던 중도, 야권으로 이동
인사쇄신·사면 등 민심수습책으로 위기 대응
친문강경파 반발에 역효과…사면도 결국 후퇴
문재인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 추락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문 대통령 국정수행 부정평가 수치가 60%를 넘어서며 '유보'가 아닌 '반대파'가 점점 늘어나는 형국이다. 윤석열 검찰총장에 대한 무리한 징계와 코로나19 대유행, 전세대란 등 악재가 겹치며 중도층의 마음이 돌아선 것으로 풀이된다.
리얼미터가 YTN 의뢰로 지난 1~2일 전국 유권자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문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율은 34.1%였다. 반대로 부정평가는 61.7%를 기록했다. 리얼미터 관계자는 "매주 정례조사와 연속성이 있는 조사는 아니지만, 리얼미터 조사에서 문 대통령 국정수행 부정평가가 60%를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했다.
정당지지율에서도 민주당이 고전하는 형국이다. 민주당 지지율은 28.7%로 국민의힘(34.2%)에 이어 두 번째였다. 간신히 오차범위(±3.1%p) 이내를 유지했지만, 한 때 50% 가까이 육박하며 제1야당과 2배가 넘는 격차를 보였던 때와 비교하면 초라한 성적표다.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당내에서는 중도층이 반대파로 돌아서고 있다는 점에 우려하는 분위기다. 민주당의 한 전략통은 "현안에 따라 민주당을 지지하거나 때로 유보했던 잠재적 여권 지지층이 문 대통령 반대층이나 국민의힘 쪽으로 옮겨가는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며 "부동산 이슈와 추윤갈등이 오랫동안 지속된데다가 코로나19 대유행으로 경제활동이 위축된 게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문 대통령이 최근 추미애 장관과 김현미 장관을 교체하고 청와대 참모 인사쇄신에 나선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민주당은 윤석열 검찰총장 개인의 신상에 초점을 맞췄던 검찰개혁 사안을 '제도개혁'으로 방향을 전환했다. 구체적인 발언은 없었지만, 여야 간 갈등이 컸던 사안에 있어서 한 발씩 물러난 셈이다.
이낙연 대표가 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의 사면을 언급한 것 역시 중도층 이탈을 막기 위한 일련의 흐름과 일치한다. 이 대표와 청와대 모두 부인하고 있지만, 지나칠 정도로 '직분'을 강조하는 이 대표가 사전교감 없이 대통령 권한인 사면을 거론하진 않았을 것이라는 게 당 안팎의 지배적인 견해다.
하지만 당내 친문강경파의 반대로 역효과만 발생했다. 김두관 의원을 비롯해 다수 의원들이 윤 총장 탄핵에 목소리를 높이고 있고, 지지층 사이에서는 추미애 법무부 장관을 재신임해야 한다는 주장도 여전히 나오고 있다. "제도적으로 검찰개혁을 완성하겠다"는 지도부 입장이 제대로 먹혀들지 않는 셈이다.
두 명의 전직 대통령에 대한 사면은 끝내 철회됐다. 최인호 수석대변인은 이날 "당사자들의 반성이 중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고 국민과 당원의 뜻을 존중하기로 했다"고 최고위 간담회 결과를 밝혔다. 전직 대통령들의 '반성'과 '국민적 동의'라는 사면의 두 가지 전제를 내놨는데,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조건이나 마찬가지다. 이 같은 결과에 친문강경파의 격렬한 반대가 큰 영향을 미쳤음은 물론이다.
멍에는 이 대표가 홀로 지게될 전망이다. 민주당 최고위는 "국민통합을 위한 충정으로 이해한다"며 봉합에 나섰지만, 친문강경파의 반발이 쉽게 잦아들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일부 당원들은 "대통령을 배신했다"며 "재신임하자"는 말까지 공공연히 내뱉고 있다. 차기 대선을 위해 개인정치를 하는 이 대표를 좌시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민주당 관계자는 통화에서 "사면이 진행돼 국민통합 행보라는 평가를 받더라도 그건 문 대통령과 민주당 지지율에 도움이 되는 것"이라며 "총대를 멘 이 대표 개인으로서는 오히려 마이너스"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 대표가 개인의 대선행보를 생각했다면 당내 반대가 불을 보듯 뻔한 사면을 꺼낼 이유가 없는데 왜 자기정치 한다고 낙인을 찍는지 모르겠다"며 분통을 터뜨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