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위원회 개최
R&D, 사업화 등 2021년 소부장 시행계획 수립
정부가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를 위해 BIG3 등 차세대 기술개발에 2조2000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경기, 경남, 전북, 충남, 충북 등 5개 지역별로 주력 기술을 특화시켜 소부장 클러스터로 육성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6일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제6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위원회'를 개최해 '2021년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 시행계획' 등 3건 안건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소재·부품·장비 핵심품목의 공급 안정성을 강화해나가기로 했다. 공급망 핵심품목과 Big3 등 차세대 기술개발 R&D 2조2000억원을 집중 투자하고, 특허분쟁 등 대응 강화를 위해 IP R&D를 의무화한다. 또 데이터 기반 신소재개발 플랫폼, 디지털 물류망 등 기술개발과 공급망 안정화에 디지털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나갈 계획이다.
소부장 기업의 글로벌 공급망 진출도 뒷받침하기로 했다. 으뜸기업-강소기업-스타트업 등 단계별 체계적인 기업 지원 강화를 위해 전용 R&D 사업 등을 신설하고 선정기업을 확대한다. 개방형 기술 확보를 위한 글로벌 수요기업이 참여하는 공동R&D를 신설(172억원)하고 7000억원 규모의 소부장 펀드도 신규 조성한다.
연대와 협력 기반의 소부장 선순환 생태계를 확산하기로 했다. 해외 수요기업이 참여하는 글로벌 협력모델을 포함해 협력모델 20+α개를 발굴하고,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우선구매 등 우수 소부장 구매 확대를 위한 시장조성을 추진한다.
같은 맥락에서 R&D가 원활히 사업화로 연계되도록 15개 공공 연구원에 실증 테스트베드를 구축(1546억원)하고, 양산성능평가 및 신뢰성 향상지원(620억원)도 강화한다. 융합혁신지원단, 대학 소부장 기술전략자문단이 기업 기술애로, 인력지원 등까지 집중지원(418억원)할 예정이다.
첨단산업의 세계공장화를 위한 글로벌 수준의 소부장 클러스터를 육성하기로 했다. 금년에 최초로 소부장 특화단지를 지정해 앵커 수요기업과 중소·중견 공급기업 간 연계를 강화하고, 각 단지별 특성에 맞춰 맞춤형 지원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첨단투자 세제·보조금 및 유턴지원 확대 등 투자 관련 인센티브도 조속 확대할 계획이다.
경기(반도체), 경남(정밀기계), 전북(탄소소재), 충남(디스플레이), 충북(이차전지) 등 총 5개 단지를 소부장 특화단지로 추진키로 의견을 모았다. 5개 단지는 6대 주력산업, 100대 핵심전략기술을 특화시키는 지역 맞춤형 지원전략을 수립하고 범부처 지원을 통해 글로벌 소부장 클러스터로 육성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해외 M&A 성과를 연계, 수요기업의 기술 로드맵 공유, 공공 연구기관의 전문인력 파견, 공용 테스트인프라 구축 등 수요-공급기업 간 협력모델 4건을 승인했다. 대상 품목은 미래차 통신용 송수신 소재·부품, 바이오·의료용 타이타늄 소재, 전기차 인버터용 시스템반도체 등 3대 신산업(BIG3)을 뒷받침하는 소재·부품 품목이다
정부는 협력모델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4년간 약 600억원 규모의 R&D 지원, 설비투자를 위한 80억원 정책금융 등을 적정금액 조정을 거쳐 지원할 예정이며, 인력·인프라, 규제특례 등 기업이 원하는 맞춤형 패키지 지원도 제공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4개 협력모델을 통해 2025년까지 약 1500명의 고용 및 1조원 이상의 신규투자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협력모델이 실제 성과로 이어지도록 차질없이 지원을 이행해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