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사퇴냐 아니냐 하는데…윤석열 '윤'자도 안나온 與회의


입력 2021.03.04 11:03 수정 2021.03.04 11:05        이유림 기자 (lovesome@dailian.co.kr)

중수청·검찰개혁도 언급 안돼…의도적 자제

같은날 與검찰개혁특위도 '속도조절'로 선회

더불어민주당 정책조정회의에서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발언하고 있다. (자료사진)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윤석열 검찰총장의 사의 표명이 임박했다는 관측이 나오는 등 정국이 긴박하게 돌아가고 있지만, 4일 더불어민주당 공개 회의에서는 윤석열의 '윤'자도 언급되지 않았다. 윤 총장과 충돌하는 것처럼 비치지 않기 위해 의도적으로 언급을 자제한 것으로 보인다.


이날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 정책조정회의에서는 정치권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른 윤석열 검찰총장이 전혀 언급되지 않았다. 윤 총장이 '부패완판'(부패가 완전히 판치게 됨)이라고 작심 비판한 중대범죄수사청(중수청) 설치법에 대해서도 이야기가 없었다. 민주당 회의 때마다 단골로 나왔던 검찰개혁도 마찬가지였다.


대신 김태년 민주당 원내대표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직원들의 광명·시흥 신도시 투기 의혹과 관련해 "공직자가 직무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해 사적 이득을 취할 경우 법적 처벌과 함께 투기이익을 환수하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김 원내대표는 "높은 윤리성이 요구되는 LH 직원의 투기 의혹이 국민에게 분노와 상실감을 안기고 있다"면서 "공직윤리 청렴 의무 위반은 물론 부동산시장 안정을 위한 정부 정책에 대한 신뢰를 훼손했다는 점에서 용납할 수 없는 반사회적 투기 범죄"라며 이같이 강조했다. 그밖에 △백신 정쟁화 자제 △경제혁신법안 입법현황 점검 등에 대한 내용이 있었다.


홍익표 민주당 정책위의장은 전날(3일) 고용노동부·기획재정부 등 관계부처가 합동으로 발표한 '청년 고용 활성화 대책'에 대한 설명, 이낙연 민주당 대표의 대선 공약으로 불리는 '신복지제도' 구체화 등에 대해서만 입장을 밝혔다.


검찰개혁특위 위원으로 활동하는 김용민 의원 역시 이날만큼은 '윤석열 때리기'를 하지 않았다. 대신 국민의힘을 탈당한 무소속 전봉민 의원 일가의 토착비리 의혹과 관련해 "권력을 이용해 각종 특혜를 누리고 지방행정과 결탁한 것이 사실로 밝혀진다면 용납될 수 없다"며 "감사원 감사 청구를 비롯해 사건의 잔상파악과 재발방지를 위해 모든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검찰개혁특위 비공개 회의 직후 오기형 특위 대변인이 브리핑을 하고 있다.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민주당 검찰개혁특별위원회도 여당과 검찰의 갈등이 표면화되는 것을 우려한 듯, "다양한 의견을 듣겠다"며 중수청 설치법 발의를 늦추겠다고 밝혔다. 오기형 민주당 검찰개혁특위 대변인은 비공개 전체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충분히 여러 과정을 통해 소통하고 기본적으로 다양한 의견을 듣겠다"며 "정돈된 상태에서 법안 발의를 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정치권에서는 여당이 윤 총장을 비롯한 검찰 내부의 반발을 의식해 속도조절에 나선 것이란 해석이 나왔다. 오 대변인은 상반기 처리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사회적 공감이 이뤄지면 그 시점에 이뤄지는 것"이라며 "특별히 언제까지 시한을 놓고 접근하지 않는다. 방향성과 국민을 설득하는 과정"이라고 답했다.

이유림 기자 (lovesom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유림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