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내 KT 대덕2연구센터에 ‘AI·SW 기술 연구소’ 출범
산업 AI 공동 연구…글로벌 차세대 AI 모델·인프라 개발
KT가 카이스트(KAIST)와 함께 ‘인공지능(AI)·소프트웨어(SW) 기술 연구소’ 설립에 나선다.
KT는 KAIST와 ‘AI 및 SW공동 연구소 설립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구현모 KT 대표는 “내부 AI 역량 집중과 함께 AI원팀 조성, 스타트업 발굴 등 다양한 외부 협력을 적극적으로 진행해온 가운데, 이번 KAIST와 공동 연구는 KT의 AI 연구개발(R&D) 도약과 사업 저변 확대에 중요한 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국내 최고 산학 공동 프로젝트로 자리매김 시키고 고객 삶의 변화와 산업 디지털전환(DX)을 선도할 연구 성과가 나올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양측은 KT가 보유한 대덕2연구센터에 ‘AI·SW 기술 연구소’를 공동 설립하고 연내 공식 출범 시킬 계획이다. KT는 교수와 연구원, KT 직원 등 약 200명이 상주할 수 있는 R&D 공간 마련과 전용 그래픽처리장치(GPU) 서버팜 구축 등 연구 인프라 지원에 나선다.
양측은 AI·SW 기술 연구소가 ▲최첨단 인프라 ▲국내 최고 수준의 전문 연구인력 ▲상용 서비스와 연구 현장을 아우르는 KT와 KAIST 방대한 데이터 등 ‘초거대 AI’ R&D를 위한 준비된 역량을 갖췄다고 설명했다.
KAIST의 우수한 역량과 KT의 AI 기반 사업간 시너지를 낼 수 있는 과제를 중심으로 ‘원천 기술’과 ‘산업 AI’ 분야에서 총 20개의 초기 공동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우선 ‘원천 기술’ 관련 음성·비전·휴머니스틱 AI(인간중심 AI) 등 15개의 미래지향적인 연구과제를 선정했다. 이를 통해 사람과 유사한 대화와 추론, 음성·영상·센싱 등 복합 정보 기반의 정교한 상황 인지와 답변이 가능한 AI 모델 개발에 나선다.
사업 경쟁력 강화와 차세대 시장 발굴을 위해 미디어·헬스케어·로봇 등 ‘산업 AI’ 분야에도 초기 5개 과제를 선정해 공동 연구를 진행한다. 양측은 내실 있는 공동 연구 성과를 통해 삶의 변화와 산업의 디지털 혁신에 앞장 설 계획이며 매년 협의를 통해 연구 과제를 갱신한다.
공동 연구를 통해 글로벌 시장을 주도할 차세대 AI 모델을 공동 개발하고 효율적인 AI 인프라 구축을 이끌어 낸다는 목표다. 예를 들어 GPT-3 이후 차세대 AI 모델을 공동 개발하는 등 수준 높은 연구를 통해 AI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선제적으로 ‘포스트 AI 시대’를 이끌어 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창업을 희망하는 KAIST 학생을 대상으로 KT가 가진 역량을 활용해 공간·장비·인력 등 보육 인프라도 지원할 계획이다. 스타트업 발굴, 육성, 투자 등 KT가 진행해온 액셀러레이터 모델을 활용한 창업 멘토링 프로그램도 적용 예정이다. 또한, 공동 연구 참여를 통해 역량이 입증된 우수 인재를 대상으로 장학금과 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