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분야별 연령·성별 등 종합적으로 고려해 대상 선정…"가용 백신·대상자 규모 파악 단계"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감염에 노출될 위험성이 큰 택배·배달기사, 환경미화원 같은 필수 노동 종사자에게 백신 우선 접종을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고용노동부는 26일 관계부처 및 자치단체와의 온라인 회의에서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필수노동자 보호·지원 대책' 추진대책에 대해 논의했다. 또 백신 수급 상황이 호전된다면 사회필수인력에 대한 백신 우선 접종을 확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필수노동자는 사회기능 유지를 위해 보건·의료·돌봄, 택배배달업, 환경미화원, 제조·물류·운송·건설·통신 등 국가 재난 속에서도 대면 서비스를 제공하는 노동종사자다. 의료인력, 노인·장애인 돌봄 종사자, 항공기 승무원 등 일부 필수 업무 종사자의 백신 예방접종은 이미 시행 중에 있다.
그러나 또다른 사회 필수인력인 택배·배달, 환경미화, 지하철·버스 등 대중교통 분야 필수노동자들은 접종 대상에서 제외됐다. 여기에 노인학대 쉼터 종사자, 산업간호사와 같은 돌봄종사자·보건의료인은 접종 일정이 급하게 추진되면서 명단 확보나 수요 제출이 늦어져 접종하지 못했다.
이에 정부는 당시 예방접종 계획에서 제외된 필수업무 종사자를 포함해 이미 접종이 진행되고 있는 사회필수인력에서 접종 범위를 더 넓힐 예정이다. 필수업무 분야별 연령·성별 및 불특정 다수와의 접촉빈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대상을 선정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홍정익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추진단) 예방접종관리팀장은 이날 "백신 수급 상황이 호전되면서 접종 기회가 (추가로) 생긴다고 하면 어떤 대상자들에게 접종할 것인가를 두고 후보군을 검토 중"이라며 "아직 언제 접종할지 등 (구체적 사항이) 결정된 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암 환자 등 만성질환자도 동일한 선상에서 검토한 부분"이라며 "남은 2분기 6월과 오는 7∼8월 접종 대상에 이러한 분들을 포함하는 것에 대해서 논의가 진행 중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백신 공급·수급량과 대상자 규모를 따져서 예방접종전문위원회의 심의를 받아 결정하는 절차가 있기 때문에 지금은 대상자 규모를 파악해 6∼8월 가용 백신을 매칭하는 작업을 시작하는 단계이며, 확정된 사항은 없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