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서민 급전 창구' 카드론 금리 평균 15% 육박…레고랜드 사태 이후 최고


입력 2025.04.20 10:36 수정 2025.04.20 10:36        박상우 기자 (sangwoo@dailian.co.kr)

3월 카드론 금리 평균 연 14.83%

전월(14.64%) 대비 약 0.19%p ↑

여전채 금리 2%대 인하와 대비

서울 종로구 한 골목에 카드 대출 관련 광고물이 붙어있다. ⓒ뉴시스

서민들의 대표적인 '급전 창구'로 꼽히는 카드론 금리가 치솟고 있다. 지난달 레고랜드 사태 당시인 2022년 말 이후 최고 수준을 나타냈다.


20일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9개 카드사(롯데·BC·삼성·신한·우리·하나·현대·KB국민·NH농협카드)의 3월 카드론 금리 평균은 연 14.83%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14.64%) 대비 약 0.19%p 오른 수치다.


지난해 3월(14.46%) 대비해서는 0.37%p 오른 것으로, 2022년 12월(14.84%)에 육박한다.


카드론 조달금리인 여전채 금리가 2022년 레고랜드 사태로 인해 같은 해 11월 6%를 넘어서는 등 급등했다가 채권시장 안정과 기준 금리 인하 등 영향으로 올해 들어 2%대로 내려온 것과는 대비되는 수치다.


지난해 10월과 11월 2회 연속으로 기준금리가 인하됐음에도 카드론 금리 상승이 지속되면서 특히 저신용자 등 취약차주의 이자 부담은 커지고 있다.


지난해 3월과 올해 3월 900점 초과 고신용자의 카드론 평균 금리는 11.89%로 동일했다. 하지만, 700점 이하 저신용자의 평균 금리는 같은 기간 17.34%에서 17.66%로 0.32%p 올랐다.


카드론 이용자의 절반 이상은 금융사 3곳 이상에서 중복으로 대출받은 다중 채무자이고, 카드론 문턱이 높아질 경우 저신용자가 제도권 밖의 대출로 밀려날 수 있다는 점도 우려를 키우는 지점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카드 대금, 할부금, 리볼빙, 카드론, 신용대출 등의 1개월 이상 연체율을 뜻하는 카드사의 연체율은 1.65%로 전년 말(1.63%) 대비 0.02%p 상승해 2014년(1.69%) 이후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카드사들은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규제로 공급 규모를 조절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금융당국은 가계대출 증가세 둔화를 위해 카드사에도 올해 카드론 증가율을 3∼5% 내외에서 관리하도록 했다.


카드사는 금융당국과 협의된 자율규제인 '카드대출 금리체계의 합리성 제고를 위한 모범규준'에 따라 금리를 산정하는데, 카드론 금리를 구성하는 원가로는 조달원가(조달금리), 신용원가(대손비용), 업무원가(영업비용), 자본원가(필요자본의 기회비용)이 꼽힌다.


한편 지난달 카드론 잔액은 42조3720억원으로 분기말 부실채권 상각과 정부의 가계대출 관리방안 시행 영향으로 역대 최다였던 전월 말(42조9888억원) 대비 약 6000억원 감소했다.

박상우 기자 (sangwoo@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